경향신문

‘AI 국가대표’ 선발해 세계 최고 수준 AI 모델 개발 나선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AI 국가대표’ 선발해 세계 최고 수준 AI 모델 개발 나선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정부가 ‘인공지능(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등장 이후 미·중 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한국도 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을 통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주재하며 “최근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 선진국은 천문학적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며 AI 역량 강화 필요성을 밝혔다.

정부는 ‘국가 AI컴퓨팅센터’ 등 인프라 확충을 계기로 독자적 AI 모델 확보에 나선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월드 베스트 LLM’(가칭) 프로젝트를 통해 소수 정예팀에 데이터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연구 자원을 집중 지원하고, 글로벌 핵심 인재를 유치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세계적인 AI 분야 석학들이 평가하는 ‘글로벌 AI 챌린지’를 열어 인재 참여를 유도하고, 입상자에 대해서는 창업을 지원하거나 정예팀 기업과의 채용을 연계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범용인공지능(AGI) 구현에 필요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지난 17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의 xAI가 공개한 최신 AI 모델 그록3는 GPU 20만장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중국 기업들은 GPU 수만, 수십만장을 활용해 AI 모델을 개발하는 상황에서 국내에 있는 GPU는 2023년 기준 2000여장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AI 기술 개발 격차를 좁히기 위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업계 안팎의 목소리를 정부가 받아들인 셈이다.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즉시→단기→중장기 3단계에 걸친 마스터플랜을 가동한다. 당장 현장에 시급한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광주AI데이터센터, 민간 클라우드 등 이미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GPU 자원을 우선 지원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1만8000장 규모의 첨단 GPU를 확충한다. 1만장은 국가 AI컴퓨팅센터를 중심으로 연내 확보하고, 나머지 8000장도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을 통해 확충할 예정이다. 또한 2030년까지 국가 AI컴퓨팅센터 내 국산 AI 반도체 비중을 50%로 끌어올리는 등 저전력·고성능의 국산 AI 반도체 경쟁력을 높인다.

세제 지원 등 제도적 기반도 강화한다. AI를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 기술로 지정해 첨단 AI 연구·인력개발(우대 공제율 30~50%), AI 통합 투자(우대 공제율 15~35%)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한다. 비수도권에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 전력 계통 영향평가 우대를 검토하고 항만배후단지·공항지원시설 등으로 입지를 다변화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