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우크라이나 전쟁 3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우크라이나 전쟁 3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키이우|A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키이우|AP연합뉴스

러시아의 무력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24일로 개전 3년이 된다. 양측 사망자는 130만명으로 추산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피비린내 난 전쟁으로 기록될 것이다. 우크라이나에선 1000만명이 국내외 피란길에 오르고, 주택은 10% 이상 파손됐다. 참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주민들의 삶은 송두리째 무너졌다.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다. 새로운 냉전 구도라는 말도 나온다. 이런 양상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급변했다. 그러면서 미국 주도로 종전 협상도 속도가 붙고 있다.

트럼프는 ‘침략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옹호한다. 그의 타깃은 ‘피해국’ 우크라이나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독재자”라고 하더니 “애초에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곤 종전을 위해 석유·가스·광물 등 천연자원 수익의 50%를 포함해 5000억달러(약 720조원)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이 전쟁에 지원한 것보다 4배가 넘는다. 러시아는 전쟁으로 점령한 지역을 돌려줄 생각이 없는데, 피해국에 전쟁 배상금을 내라는 격이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전쟁도 거래의 대상일 뿐이다. 미·러와 북한이 엉킨 이 전쟁 여파는 한반도에도 미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자력으로 전쟁을 수행할 수 없다. 3년간 자국민이 막대한 희생을 치른 전쟁을 이대로 끝낼 수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에 영토를 내준 채 미국 요구를 울며 겨자 먹기로 받아들여야만 전쟁은 끝날 분위기다. 우크라이나의 처지는 강대국의 이해관계 앞에서 약소국은 언제든 위협당할 수 있는 비애를 보여준다.

국제정치는 자국 이익을 최우선한다. 이 국익은 통상적으로 국제법, 자유·인권·정의라는 인류 보편가치에 부합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 이것이 국제사회가 지금까지 여겨왔던 질서였다. 하지만 이번 전쟁으로 국제정치의 불확실성은 커졌다. 유엔의 역할과 존재감에 대한 회의감도 증폭됐다. ‘스스로 살아남아라’가 이번 전쟁의 교훈이어선 안 된다. 전쟁 없는 지구촌을 위해 세계가 새로운 협력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는 숙제를 남겼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