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영 마지막 탄광 6월 말 문 닫아…민영 1곳만 남아
공투위 “생존 벼랑 끝에 몰려…정부, 대체 산업 추진을”

지난 13일 강원 삼척시 도계읍 도계역 광장 앞 도로에 ‘도계광업소 폐광 반대’ ‘폐광 시 대체산업 추진’ 등의 내용이 담긴 깃발이 나부끼고 있다. 삼척시 제공
석탄 산업의 흥망성쇠와 폐광의 아픔을 간직한 강원 삼척시 도계읍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마지막 국·공영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의 폐광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지역경기 침체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25일 대한석탄공사와 강원도에 따르면 도계광업소는 오는 6월 말 문을 닫을 예정이다. 2023년에는 전남 화순광업소가, 지난해엔 태백 장성광업소가 폐광했다. 올해 삼척 도계광업소마저 문을 닫으면 대한석탄공사가 운영하는 국·공영 탄광은 모두 사라지게 된다.
폐광을 앞둔 삼척시 도계읍에는 ‘지역소멸’에 대한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도계광업소 폐광 후 도계읍 탄광은 국내 유일 민영 탄광인 (주)경동상덕광업소 단 한 곳만 남게 된다. 급기야 올해 초부터는 일부 주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를 준비하는 등 지역사회 불안감이 커지는 중이다.
도계 주민 8000여명은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대안 마련을 요구 중이다. 곳곳엔 ‘도계광업소 폐광 반대’ 현수막과 깃발이 걸렸다.
도계역 광장 앞에 들어선 천막 농성장 안에선 지난 6일부터 임광번 전 광산노련 회장(70)을 비롯해 심진철 도계읍 번영회 부회장 등 지역의 각계 인사들이 릴레이 단식을 이어가는 중이다.
도계읍 주민들로 구성된 ‘대체 산업 쟁취 대한석탄공사 폐광반대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정부 측에 ‘도계광업소 폐광에 앞서 대체 산업 추진에 대한 명확한 견해를 밝힐 것’을 촉구하고 있다. 폐광지역 경제진흥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면세점 설치, 사택 거주자 주거와 광원의 재취업 대책 수립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광태 도계읍 번영회장(60)은 “정부는 벼랑 끝에 내몰린 탄전지대 주민의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해 희망고문만 하지 말고 폐광 전에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며 “생존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3월 중순쯤 1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삼척시민 총궐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투쟁 수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도계읍은 국내 탄광 산업의 흥망성쇠가 고스란히 이어져온 지역이다. 도계읍 지역에서 탄광이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1936년부터다. 정부가 외화 획득을 위해 독일로 파견한 광부(파독 광부)들도 1963년부터 1975년까지 도계읍에서 훈련받았다. 석탄 산업이 호황을 맞았던 1970년대 말 도계읍 인구는 5만명에 육박했다.
1989년 정부의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이 시행된 후 탄광 산업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 조치로 도계읍 지역에서 운영되던 10여개 탄광이 문을 닫았다. 광부들이 줄줄이 실업자가 됐고, 도처에 빈집이 생겨나는 등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았다.
올 1월 말 기준 도계읍 인구는 8674명이다. 전성기 인구의 20%도 안 된다.
공투위 측은 도계광업소가 폐쇄되면 광부 등 270여명 실업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갱내 보수업무와 경비 협력업체, 목욕탕, 운송업체 등 관련 업체 종사자 280여명도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계광업소 광원의 절반에 가까운 43.2%는 “폐광 이후 다른 시군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이다. 도계읍의 지역소멸 우려가 제기되는 배경이다. 도계 주민들은 “폐광이 현실화하면 도계광업소 사택 인근 50여개 점포도 폐업할 수밖에 없는 절박한 처지에 내몰릴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도가 최근 실시한 ‘탄광지역 폐광 대응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도계광업소 폐광에 따른 도계읍의 피해 규모는 5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삼척시는 폐광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3300억원가량을 들여 도계읍 일원에 중입자가속기 기반 의료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내국인 지정 면세점을 설치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
삼척시 관계자는 “오는 6월 이전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진행 중인 ‘중입자가속기 기반 의료클러스터 조성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강원도 등과 협력해 폐광 대체 산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