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삼웅의 붓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김삼웅의 붓칼

김삼웅 선생이 생애 처음으로 소설책을 펴냈다. 바로 <네 칼이 센가, 내 칼이 센가>이다. 선생은 평전작가이며 독립기념관장을 지냈다. 소설 한 편 쓰는 것은 오래된 소망이었다. 소설 주인공은 단재 신채호이다. 어떤 허구도 경계하며 이미 <신채호 평전>을 출간했지만 다시 상상의 날개를 펼쳐서 단재에게 날아갔다. 김삼웅은 단재를 늦게 알아서 죄송하고, 그래도 알게 되어 행복하다고 술회한 바 있다.

신채호는 지식인과 언론인의 전범이고, 학자의 전형이었다. 양명학과 노장사상까지 사설(邪說)이라 내치며 그 위세가 하늘을 찔렀던 유생들이 막상 나라가 망하자 일제의 은사금을 받으려고 길게 줄을 섰다. 저명한 선비들이 공맹의 가르침을 일제에 바치고 일신의 영화를 챙겼다. 무려 700명이 넘었다. 하지만 단재는 엄동에 홀로 푸른 송백이었다. 김삼웅은 신채호의 삶을 이렇게 정리했다. “전근대의 철문을 연 계몽주의자, 치열한 항일구국 언론인, 담대한 애국문사, 주체적 민족주의자, 전위적인 독립운동가, 근대사학의 개척자, 국제주의 아나키스트.”

신채호는 중국에서 망국노(亡國奴)로 살아야 했지만 얼어 죽어도 곁불은 쬐지 않았다. 독립운동 단체의 항일 선언문은 신채호가 도맡아 작성했다. 또한 항일투쟁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잡지들을 창간했다. 그중에 ‘하늘 북’을 뜻하는 ‘천고(天鼓)’의 창간사는 모두에게 천둥이었다. “천고여, 천고여, 구름이 되고 비가 되어 (이 땅에 가득 찬) 더러움과 비린내를 씻어다오. 혼이 되고 귀신이 되어 적의 운명이 다하도록 저주해다오. 천고여, 칼이 되고 총이 되어 왜적의 기운을 쓸어버려다오.”

가난과 병마에 시달렸지만 붓만 잡으면 온몸에 힘이 솟았다. 감옥에 갇혔어도 한 치 빈틈을 보이지 않았다. 옥중에서 오랜 벗 홍명희에게 짧은 편지를 썼다. “형에게 한마디 말을 올리려니 이 붓이 뜁니다. 그러나 억지로 참습니다. 참자니 가슴이 아픕니다마는 말하려니 뼈가 저립니다. 그래서 아픈 가슴을 움키어 쥐고 운명이 정한 길로 갑니다.” 훼절하면 살 수 있었음에도 죽음 속으로 들어갔다.

“선생은 칼을 들고 왔다. 날이 번쩍이는 청룡도가 아니라 날 선 붓칼(筆刀)이었다. 천년 풍상에도 조금도 녹슬지 않고 백년 궁핍에도 날카로운 서슬이 시퍼렇게 살아 있는 칼이었다. 꺾이지도 휘어지지도 않았다. 도저한 붓은 사필(史筆)이 되고, 준열한 사론(史論)은 민족사학 또는 근대사학의 지표가 되었다.”(<네 칼이 센가, 내 칼이 센가>)

김삼웅은 단재의 붓칼을 얻고 싶었다. 그래서 아첨과 곡언으로 돈과 감투를 얻는 학기(學妓)와 관기(官妓)들을 찌르고 싶었다. 해방 이후에도 우리 사회는 친일매국노의 후신들이 득세했다. 이승만 정권에서는 ‘이승만 국부론’, 박정희 때는 ‘유신찬양론’, 전두환 때는 ‘광주폭도론’, 이명박 때는 ‘4대강 예찬론’, 박근혜 때는 ‘100개의 형광등론’, 윤석열에 이르러서는 ‘자유예찬론’을 떠받들며 권력에 기생했다. 특히 미망에 빠진 권력중독자 윤석열 주변에는 뉴라이트 등 형이하학적 잡배들이 우글거렸다. 윤석열은 이승만의 아집, 박정희의 독선, 전두환의 폭력성, 이명박의 교활성, 박근혜의 무지의 유전자가 박힌 희대의 괴물이었다. ‘장님 무사’ 윤석열의 칼춤에 박수를 치고 추임새를 넣는 무리를 붓칼로 내려치고 싶었다.

김삼웅은 엄혹한 시절 신군부에 끌려가 모진 고문을 당했다. 그 후유증으로 요즘 잘 걷지 못한다. 한 달 전쯤 선생을 뵈었다. 지팡이를 짚고 나타난 선생은 수척했지만 눈만은 맑았다. “다리는 불편해도 정신은 온전합니다.” 사관의 자신감이 도도했다. 선생의 집은 수만 권의 책과 사료들로 벽과 방바닥이 보이지 않는다. 수집한 책과 사료는 역사의 증인이고 증언들이다. 스스로를 글감옥에 가두고 50여권의 평전을 썼다. 그렇게 근현대사 인물들을 재탄생시켰다. 고독한 작업이다. 멀리서 보면 성스러울 정도이다.

팔순이 넘었어도 쉴 수가 없다. 인생을 관조하기에는 현실이 척박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열정이 남아있다. 그는 노자의 ‘천도론’에서 역사의 존엄을 확인한다. ‘하늘의 그물은 촘촘하지 못하지만 결코 놓치지 않는다(天網恢恢 疎而不失)’는 가르침이다. 김삼웅은 시퍼렇게 살아있다. 역사와 민심을 우습게 여기는 자들을 글로 다스리는 필주(筆誅)를 계속하고 있다. 붓칼로 친일매국노와 독재자들, 그리고 반민주 세력들을 처단하고 있다. 어느덧 신채호를 닮았다.

김택근 시인

김택근 시인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