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시군구 5곳 중 1곳 출생아 ‘100명 이하’···빨라지는 지방소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시군구 5곳 중 1곳 출생아 ‘100명 이하’···빨라지는 지방소멸

서울의 한 구청 민원실에 출생신고서가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구청 민원실에 출생신고서가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전국 기초자치단체 5곳 중 1곳가량은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로 집계됐다. 수도권 인구 쏠림에다 신생아마저 줄면서 지방 소멸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모양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17개 광역시·도 산하 264개 기초자치단체(시·군·구) 가운데 출생아 수가 100명보다 작거나 같았던 지역은 총 52곳이었다.

광역자치단체 내 기초자치단체 중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곳은 부산, 대구, 인천이었다.

반면 수도권이나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서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기초자치단체가 다수 있었다. 강원은 8곳, 충북은 5곳, 충남은 4곳, 전북은 6곳, 전남은 8곳, 경북은 9곳, 경남은 9곳에서 100명 이하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출생아 수를 100명 단위로 집계한다. 다시 말해 ‘출생아 수 100명’은 1년 동안 50∼149명의 출생아가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기초자치단체는 출생아 감소 흐름과 맞물려 매년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다. 5년 전인 2019년에는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0∼149명)인 기초자치단체가 27곳으로, 지금의 절반 수준이었다.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아 발생하는 인구 자연감소 역시 지방에서 두드러졌다. 지난해 광역시·도 중 인구가 가장 많이 자연 감소한 지역은 경상북도(1만4900명)였다. 1만300명의 출생아가 태어나는 동안 2만5300명이 사망했다. 2위는 1만3800명이 감소한 경상남도였다. 전남과 전북, 충남, 강원 등 지자체 역시 인구가 큰 폭으로 자연 감소했다.

이 같은 ‘인구 지역 격차’는 인구 이동과 맞물려 수도권 쏠림 및 지방 소멸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통계청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전출 인구 대비 전입 인구가 가장 많았던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였다. 총 6만4000명의 인구가 기존 거주지를 떠나 경기도로 순유입됐다. 2위 역시 수도권인 인천으로, 2만6000명이 순유입됐다. 그러나 강원과 경남, 경북, 전남, 전북, 강원 등 대부분의 지방 지자체는 인구가 순유출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