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학교 가기 싫어” 떼쓰는 아이…‘새 학기 증후군’ 부모 대처법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학교 가기 싫어” 떼쓰는 아이…‘새 학기 증후군’ 부모 대처법

스트레스에 두통·짜증 등 증상

야단 말고 공감·이해의 자세로

1~2주 이상 지속 땐 병원 가야

새 학기엔 새 노트 학부모와 학생들이 3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 문구 코너에서 학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새 학기엔 새 노트 학부모와 학생들이 3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 문구 코너에서 학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입학·개학으로 새 학년을 시작하는 아이에겐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워 극심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겪는 ‘새 학기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새로운 환경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스트레스를 불러오는데, 그 강도가 높아 적응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성인보다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불안과 스트레스가 종종 신체 증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복통과 두통, 식욕 부진, 짜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화장실을 자주 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증상과 비슷하게 산만하고 과도한 행동을 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증상이 악화하기도 한다. 틱장애가 있다면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목을 흔드는 등 반복적인 움직임, 이유 없이 코를 킁킁거리거나 쩝쩝거리는 소리를 내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내성적인 아이는 친구 관계나 새로운 학교 환경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양육자에게서 떨어지는 데 대한 분리불안 증상까지 보일 수 있다.

다만 심각한 수준까지 진행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문수 고려대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새 학기 증후군의 증상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개선된다”며 “그러나 증상이 1~2주가 지나도 지속되거나 점점 악화된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했다.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어하거나 불안해한다면 야단을 치기보다는 먼저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미리 학교 시설과 교실, 같은 반 친구들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면서 예상되는 어려움과 그 해결책에 대해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개학 전까지 학교 시간표에 따라 수면·기상 시간, 하루 식사 시간을 일정하게 맞추는 등 규칙적 생활을 유지하는 것도 좋다.

이 교수는 “양육자가 조급하게 조치하려 하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불안을 이해하면서 충분히 대화하면 아이는 정서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