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중국 10% 추가 관세 확정···캐나다·멕시코 25% 부과 강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중국 10% 추가 관세 확정···캐나다·멕시코 25% 부과 강행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산 ‘25% 부과’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3일(현지시간) 최종 결정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는 오는 4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에 중국과 캐나다는 보복 관세 조치를 예고했다. ‘트럼프 발 관세 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달으면서 전 세계 통상 질서가 대혼돈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 공산당은 펜타닐을 제조하고 수출하는 기업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방금 대중국 관세를 20%로 올렸다”고 밝혔다. 다만 추가 관세 적용 시점은 명시하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10% 대중 관세를 발효했다. 같은 달 28일에는 중국으로부터의 펜타닐 유입을 거론하며 “중국 정부가 이를 막지 않으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웃 국가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일도 확정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두 국가에 대한 25% 관세는 4일부터 시행되며, 관세와 관련해 협상의 여지가 없다고 못 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각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고려해 적용하는 ‘상호 관세’를 4월2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 관세가 적용되는 날 수입 농산물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 발표에 중국 정부는 즉각 ‘반격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일(중국시간)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총 29개 품목)에 대한 관세를 15% 인상하고, 수수·대두·돼지고기·쇠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총 711개 품목)에 대한 관세는 10% 높인다고 발표했다.

보복 관세 조치는 이달 10일부터 적용된다. 다만 3월10일 전에 선적돼 4월12일까지 중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의 경우 관세 인상이 적용되지 않는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에 이어 이번 관세 인상 건과 관련,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메커니즘에 제소했다.

또 상무부는 티콤·S3에어로디펜스·텍스트오어 등 미국 방산업체 10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추가하고, 중국과의 수출입 및 중국에 대한 신규 투자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미 방산업체 레이도스·깁스앤콕스 등 15개 업체에 대해서는 핵심 광물 등 이중용도 물자(민간용으로도 군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자) 수출을 막기로 했다. 세계 최대 유전체 분석업체인 미국 일루미나도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했다.

캐나다 정부는 1550억캐나다달러(155조원)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오는 4일부터 300억 캐나다달러(30조원)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향후 21일 이내에 1250억 캐나다 달러(125조원) 보복 관세가 추가로 적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트뤼도 총리는 “관세는 미국의 무역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폭탄 관세 예고에 지난달 마약 카르텔 우두머리 등 29명을 미국으로 인도하며 ‘트럼프 대통령 달래기’에 나섰던 멕시코 정부는 구체적인 관세 대응 방안을 밝히지 않고 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A 계획 이외에) B, C, D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미국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 자국이 준비돼 있다고 짧게 언급했다.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쌓아 올리기 시작한 관세 장벽으로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물가 상승과 함께 미국 경제 성장이 저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은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을 이날 내놓았다. 이는 1.5% 감소할 것이라는 나흘 전 예측보다 1.3% 더 늘어난 수치다.

경제분석업체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고한 관세가 시행될 경우 3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가격이 한 대당 9000달러(약 1300만원) 오르고, 크로스오버 전기차의 경우 최대 1만2200달러(약 1800만원)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