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사대상 등 비공개로 일관
“‘업주 봐주기 수사’ 사실 아니길”

지난달 16일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한 사전회의가 열리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가 발생 20일이 다 되도록 화재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최초 발화지점은 밝혀졌으나 경찰은 화재 원인에 함구하고 있다. 경찰은 “보강 수사 중인 관계로 공개하기 어렵다”며 이른바 ‘깜깜이 수사’로 일관하고 있다.
부산경찰청은 5일 화재원인과 관련 “수사종결 전까지 화재원인 등이 알려지면 수사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송치단계인 최종 수사발표에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지난달 28일 최초 발화지점을 ‘1층 배관실 아래층 천장’이라고 밝혔다.
이후 경찰은 지하 1층 천장의 전기시설, 지하 1층 천장의 마감재 등에 대해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화재 직전 지하 1층에서 어떤 작업이 진행됐는지 작업자들을 불러 일일이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경찰은 지하 1층 작업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작업현장에 안전감독자가 배치됐는지, 작업 현장에서 불티가 닿는 부분에 가연물질을 제거했는지, 작업장 인근에 소화기와 소화용구를 배치했는지, 소방설비와 대피시설이 정상 작동했는지, 예방교육을 실시했는지에 대해 입을 닫고 있다.
복합건축물인 반얀트리 리조트는 준공 후 총괄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경찰은 총괄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여부를 조사했는지도 언론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시공사나 협력업체 관계자에 대한 입건 여부, 출국금지 여부 등에 대해서도 함구하고 있다.
‘깜깜이 수사’로 일관하자 일부 유족들은 “재해사건에서 노동청이나 경찰이나 모두 기업 편이라는 말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한편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의 시공사인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시는 지난달 27일 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이어 시행사인 루펜티스는 지난 4일 시공사인 삼정기업과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밝혔다. 루펜티스는 회원들에게 보낸 안내문에서 “시공사의 기업회생과 중대재해 등으로 공사 계약 이행이 어렵다”며 “부동산신탁과 논의해 시공사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시공사가 최근 기업회생을 신청하자 “지역경제에 어려움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시공사 대표가 처벌되면 또 다른 후유증이 예견된다는 보도도 쏟아지고 있다. 기업회생절차 신청은 구속 위기를 모면하려는 꼼수라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