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가운데)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방문한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5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이 되어 있고, 양국 간 관세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한 “한국의 평균 관세는 4배 더 높다”는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신 실장은 이날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에 입국한 뒤 취재진과 만나 “구체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말씀에 무슨 말씀을 드리는 게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 통상관계 부처와 미국 상무부, 무역대표부(USTR) 등과 긴밀히 협의가 되고 있어서 좋은 결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양국 모두) 윈윈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와 함께 한국에 대한 군사 지원을 언급함에 따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 가능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선 “구체적으로 방위비를 재협상하자는 얘기는 아직 논의된 것이 없다”며 “그 문제는 70년 한미동맹의 정신에 입각해 원만하게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연설에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파이프라인 사업에 한국이 참여 의향이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선 “지난번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와서 협의했다”며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논의해 나가기로 했고, 앞으로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12·3 계엄 사태 이후 처음 방미한 신 실장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트럼프 2기 행정부 고위 인사들을 만날 예정이다. 신 실장은 “한반도 및 동북아, 글로벌 안보 이슈를 논의하고 경제 안보와 관련해 특히 조선 협력을 비롯해 다양한 논의를 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북한과의 대화 추진 등을 포함한 “대북 문제도 다 논의가 될 것”이라며 “대북 정책 또는 대북 접촉도 한미가 충분하고 긴밀한 공조 위에서 한다는 게 트럼프 2기 정부의 변함없는 얘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