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감시자 없고, 소방시설 다수 미설치
“스프링클러 작동 여부는 아직 확인 중”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10명 이상 입건

6명이 숨진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현장. 연합뉴스
6명이 숨진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 화재는 작업 중 불똥이 보온재에 옮겨붙어 일어난 것으로 감정 결과 밝혀졌다. 작업현장에 화재감시자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화재에 대비한 안전시설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경찰청은 6일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와 관련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현장 감정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경찰에 따르면 국과수는 “지상 1층 배관실(PT룸) 작업에서 발생한 불똥이 바로 아래층인 지하 1층 수처리 기계실 상단부 배관의 보온재 등을 매개로 최초 발화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리조트 B동의 지상 1층 배관실은 이번 화재로 6명이 숨진 곳이다.
경찰 관계자는 “배관의 보온재는 난연성 소재인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해당 소재의 등급은 확인 중”이라며 “화기를 다루는 작업 중에 불이 난 것으로 보이나 구체적으로 어떤 작업을 하고 있었는지는 아직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천장 내부의 합선 가능성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발포 폴리에틸렌은 열전도율이 낮고 가벼워 배관 보온재로 많이 사용된다.
불이 난 작업 현장에는 산업안전보건규정이 의무화한 화재 감시자가 배치되지 않았다고 경찰은 밝혔다. 화재 감시자는 화재 위험성 있는 작업장에 머물면서 가연성 물질에 불똥이 튀면 소화기를 사용하는 등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맡는다. 단 소방 예방교육과 시설점검 등을 총괄하는 소방안전관리자(1명)는 선임돼 있었다.
화재에 대비한 안전시설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지상 1층과 지하 1층 발화부 주변 소방시설 설치 현황과 설계 도면을 비교한 결과 화재 감지기, 통로 유도등, 시각 경보기 등이 설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미설치 소방 시설이 다수인데도 준공 승인이 난 셈이다.
경찰은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도 확인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스프링클러의 겉모습을 보면 스프링클러가 터진 게 확인된다”면서도 “소화수가 실제로 나왔는지는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경찰은 이번 화재와 관련해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10명 이상을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출국 금지된 인원은 10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입건된 공무원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이르면 이달 중 수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