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장바구니물가 2.5%↑ ‘7개월 만에 최대폭’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장바구니물가 2.5%↑ ‘7개월 만에 최대폭’

석유류 지난해 대비 6.3% 상승…소비자물가 4개월 연속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고환율에 석유류와 가공식품 가격이 크게 올랐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지수’인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6% 상승해 7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2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0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0%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1.3%까지 떨어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 1.5%, 12월 1.9%, 1월 2.2%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다.

144개 생활필수품을 바탕으로 작성되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6% 올랐다. 이는 지난해 7월(3.0%)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장바구니물가 2.5%↑ ‘7개월 만에 최대폭’
장바구니물가 2.5%↑ ‘7개월 만에 최대폭’

품목별로 보면 체감물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석유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3% 상승했다. 통계청은 국제유가가 크게 달라지진 않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환율이 오르고, 지난해 10월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축산물(3.8%), 수산물(3.6%)과 함께 외식(3.0%) 물가 상승 폭도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에는 매장 가격보다 배달 음식 가격을 높게 책정하는 ‘이중 가격제’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식품업체들이 올해 들어 출고가를 잇달아 인상하면서 가공식품(2.9%) 물가 상승 폭은 지난해 1월(3.2%)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상기후 여파로 카카오가 귀해지면서 초콜릿 가격은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커피도 3개월 연속 8% 내외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도시가스(6.9%)·지역난방비(9.8%)·상수도료(3.7%)도 대폭 상승했다.

반면 농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2% 하락했다. 무(89.2%), 배추(65.3%) 등은 고공행진을 이어갔지만 파(-31.1%), 감(-27.7%), 토마토(-19.5%) 등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당국은 아직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치(2.0%) 안에 있다고 보고 있지만 환율과 국제유가,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 크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