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친명계는 ‘부정적’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야권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에 이른바 ‘신3김’(김동연·김부겸·김경수)으로 불리는 더불어민주당 비주류 대선 주자들이 모두 화답했다. 개헌에 이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두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공식 입장은 없지만 이 대표 주변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6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혁신당의 오픈프라이머리 구상은 야권의 선거연합을 통해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제안”이라며 “정권교체 이후에도 반극우 연대로 더 크고 넓게 국정을 운영하기 위한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전 신뢰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국회 교섭단체 구성 요건부터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
혁신당은 지난 4일 민주당을 포함한 야권 전체가 완전국민경선제를 치르자고 주장한 바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같은 날 환영 입장을 내놨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5일 “민주당을 비롯한 정치 세력이 합의하고 첫걸음을 떼자”며 수용 의사를 밝혔다.
비이재명(비명)계 대선 주자들이 완전국민경선제 제안에 힘을 실으면서 이 대표의 결단이 남게 됐다. 민주당 지도부와 친이재명(친명)계 의원들 사이에선 부정적 기류가 읽힌다. 당 법률위원장인 이용우 의원도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현실적으로 그게 가능하겠냐”고 했다.
찬성 의견도 있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범야권 단일 후보는 필요하다. 지금 가장 큰 최대의 혁신은 정권교체에 있기 때문에 필요한 얘기”라고 했고, 고민정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직접민주주의를 구현해낼 수 있는 좋은 방안이기 때문에 피할 수 없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맨 먼저 제안한 혁신당에선 유력 대선 주자인 이 대표를 제외한 야권 통합 후보를 우선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황운하 혁신당 원내대표는 “이 대표를 포함해 어느 후보에게도 불리한 제도가 절대 아니다. 원샷에서 나아가 투샷 방식까지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재차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