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아파트 학군지 수요에
봄 이사철 앞둬 전세 매물 감소
올해 1~2월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거래가 전세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를 높이는 ‘반전세’가 늘면서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는 올해 1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월세 거래는 1만6570건(전체의 51.1%)으로, 전세(1만5865건)보다 705건 많았다.
구별로 살펴보면 아파트 월세 거래는 송파구(1567건), 강남구(1234건), 서초구(1098건) 순으로 많았다. WM영업전략부는 “기존 강남권 고가아파트의 월세 수요에 신학기를 앞두고 학군지로 이사하는 수요까지 더해져 월세가 상당히 늘었다”고 분석했다.
반면 도봉구(145건), 강북구(156건), 종로구(189건) 등은 서울 타 지자체에 비해 월세 거래가 적은 편이었다. WM영업전략부는 “지역 내 전세 선호와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부담 등 영향으로 월세 거래 총량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강남 3구에선 월 수백만원의 고가 월세 계약도 다수 나왔다. 각 구별 최고 거래액 계약 건을 살펴보면, 강남구에선 지난 1월1일 ‘디에이치퍼스트티어아이파크’ 전용면적 85㎡가 보증금 1억원, 월세 600만원에 거래돼 최고점을 찍었다.
300만원을 넘는 고가 월세는 총 56건으로 전체의 0.3% 수준이었다. 전체 월세 거래 다섯 건 중 네 건(79.9%)은 월세가 ‘50만원 이하’였다. 그다음으로 많은 것은 월세 ‘50만원 초과~100만원 이하’(14.8%)였고,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는 4.1%였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WM영업전략부는 “보증금 비율을 높여 월세를 낮추는 보증부월세 거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월25일 기준금리 인하와 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매물이 감소하고 있고, 금융권의 전세대출도 강화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당분간 서울 아파트의 월세화 현상과 월세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