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 홍보물이 부착돼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23년 ‘기후변화 위험 관리’를 선언한 국민연금이 사실상 무대응으로 일관했다는 시민단체 보고서가 나왔다.
기후솔루션 ‘기업을 움직이는 국민연금: 기후 리스크 관리의 한계와 개선 방향’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국민연금은 2023년 3월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개정해 중점관리사안을 다루는 제13조에 ‘기후변화 관련 위험 관리가 필요한 사안’ 항목을 추가했다. 투자 대상 기업 중 “기후변화 관련 위험 관리 수준이 개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전략 개선을 요구하거나 주주 제안을 할 수 있는 발판으로 해석됐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이 ‘비공개 대화’ ‘비공개 중점관리 기업 선정’ ‘공개 중점관리 기업 전환’ ‘주주제안’ 등의 주주활동을 할 수 있음에도 가장 낮은 단계의 조치인 ‘비공개 대화’ 대상 기업조차 선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와 후즈굿이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 2021년 기준 국민연금이 보유한 국내 보통주 1168개 중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시한 312개 기업의 금융배출량은 2710만3018t에 달했다. 금융배출량이란 금융기관이 투자나 대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여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이 한국전력, 포스코홀딩스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가 높은 기업 등에 먼저 기후 위기 대응 전략을 요구하며 기금운용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보은영 기후솔루션 기후금융팀 연구원은 “국민연금은 겉으로는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구체성과 실효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해외 연기금에 비해 부족하다”며 “국민연금은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강화를 유도하여 지속가능항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