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분양가 급등, 울고 싶은 미분양 뺨 때렸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분양가 급등, 울고 싶은 미분양 뺨 때렸다

2월 전국 아파트 3.3㎡ 당 분양가 3000만원 훌쩍 ‘사상 최고’

분양가 급등, 울고 싶은 미분양 뺨 때렸다

공급 줄고, 서울 강남 신규 분양 영향…15년 만에 매매시세 추월
‘분양’ 매력 떨어져…이미 7만여호 쌓인 미분양, 적체 심화 우려

지난달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3.3㎡당 3000만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양가와 매매가 차이가 1000만원 이상 벌어졌다.

신축 분양가가 평균 매매시세보다 비싼 역전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방 아파트 미분양 적체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R114가 12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20만원으로 역대 가장 높았다. 이는 평균 매매시세(1922만원)보다 3.3㎡당 1197만원 비싼 수준이었다.

평균 분양가는 이전 최고치인 지난해 8월(2474만원)보다 600만원 이상 올랐고, 전달(1628만원) 대비 약 2배로 상승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3.3㎡당 6941만원으로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고, 그 뒤를 이은 부산(2409만원)과 대구(2399만원)도 각각 전월 대비 488만원, 127만원 뛰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분양가 평균이 급등한 것은 서울 강남권 영향이 컸다.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감소한 가운데 분양가가 높은 강남권에서 신규 분양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전용 84㎡ 기준 분양가가 22억~24억원에 달하는 서울 서초구의 ‘래미안 원페를라’ 분양이 대표적이다.

매매시세를 앞지르는 분양가 상승세는 전국적인 추세다. 자재비·인건비 등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원·달러 환율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은 2009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평균 매매시세를 역전했다.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도 평균 분양가가 매매시세를 3.3㎡당 694만원 앞질렀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분양가 상승은 서울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라며 “최근 지방은 수요 부족으로 분양을 미루는 경향이 많아 문제가 덜 드러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매매시세를 앞서가는 고분양가가 전국적으로 이미 7만2000호나 쌓여 있는 미분양 주택 대란을 더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하나금융연구소는 보고서에서 “(2008년) 금융위기 직후 고분양가로 수도권·지방에서 분양가격이 아파트 매매가격을 상회하면서 미분양 급증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연구소는 2008년 2분기 분양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1㎡당 18만원까지 확대되면서 미분양이 늘었다고 지적했다. 2008년 전국 미분양 주택은 16만6000가구에 달했다.

김 위원은 “강남 등 신축 공급이 부족하다 평가받는 지역은 높은 분양가에도 (매물이) 소화가 되겠지만, 지방 등 비선호 지역은 미분양 적체가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