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인원 절반 뚝
대선 공약 ‘교육부 폐지’ 시동
폐쇄 행정명령 서명 계획도

미국 연방 교육부 공무원과 시민들이 워싱턴 교육부 청사 밖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교육부 해체 추진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1일(현지시간) 연방 교육부 직원 1300여명을 하루아침에 추가 해고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교육부 폐지에 시동을 걸었다.
AP통신에 따르면 미 연방 교육부는 이날 직원 1315명을 해고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지난 몇주간 572명이 해고 방침을 받아들였고, 수습 직원 63명의 계약이 종료됐다. 이에 따라 올해 초 기준 4133명이었던 교육부 직원 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두 달이 채 되지 않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뉴욕·보스턴·시카고·클리블랜드 등지에서 사무실 임대차 계약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미 언론들은 이 같은 대량 해고를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교육부 폐지 방침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상원 인준을 받은 지난 3일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교육부가 앞으로 대대적인 감축을 겪게 될 것이라고 예고하며 “행정적 낭비를 없애고 교육 정책의 권한을 주 정부에 이양하는 것이 부처의 ‘최종 임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교육부가 “급진주의자, 광신도,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장악됐다”고 주장하며 교육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난 1월 취임 후엔 직원 해고, 사업 중단, 연구 용역·보조금 취소 등으로 교육부의 기능을 축소해왔다.
맥마흔 장관은 최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폐쇄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라면서도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행정명령이 교육부 폐지로 곧장 이어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교육부는 1979년 의회에 의해 설립됐으며, 대통령은 의회가 설립한 연방 기관을 일방적으로 폐지할 수 없다. 의회 내 의견은 팽팽하게 갈리는 상황이다.
- 국제 많이 본 기사
한편 미 하원은 이날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시한을 사흘 앞두고 찬성 217표, 반대 213표로 임시예산안을 처리했다.
그러나 상원 공화당이 필리버스터를 피해 임시예산안을 처리하려면 의석(53석)보다 많은 60표가 필요해 이 법안이 의회 문턱을 넘을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