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월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에 따른 대응방안을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열린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미국 등으로 수출되지 못한 철강재 등이 국내시장으로 급격히 유입돼 시장 교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해 나가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대미 협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 조치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유럽연합(EU)와 캐나다 등 주요국의 대응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열렸다.
2018년부터 미국 철강 시장에서 연 263만t의 무관세 쿼터(수입물량 제한)를 적용받던 한국은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전날 오후 1시부터 쿼터가 철폐됐다. 이에 따라 대미 수출 시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에 대해서는 2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최 권한대행은 중소기업의 피해 차단에 대해서도 주문했다. 그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과 관련된 중소기업 영향이 클 수 있다”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관세대응 19’를 지원창구로 지정해 중소기업들의 초기 대응을 적극 지원하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실장, 박성택 산업부 1차관,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최 권한대행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이 무역 및 경제 분야에서 더욱 균형 잡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관계를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WSJ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소통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기회가 주어질 경우 한국의 대비 무역흑자가 일시적임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대화가 성사되면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약속했던 미국 상품 구매계획을 한국이 초과 달성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해 한국 조선업계의 전문가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할 예정이라고 WSJ는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