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실패한 ‘금연할 결심’, 원인은 유전자에 있다?

김태훈 기자

연구진, 니코틴 대사 관련 유전자 분석

단일염기다형성 6개, 유의미한 연관성

“음주·운동 등 생활습관도 복합적 작용”


니코틴 대사와 관련돼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밝혀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니코틴 대사와 관련돼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밝혀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금연 성공 여부에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니코틴 대사와 관련돼 금단증상을 심하게 하는 등의 6개 유전자 변이가 있다면 흡연을 중단하기 어려워지므로 맞춤형 치료 대책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재민 교수,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테라젠헬스 홍경원 본부장 공동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를 국제학술지 ‘생활습관 유전체학(Lifestyle Genomics)’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질병관리청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데이터를 활용해 비흡연자 1326명, 과거 흡연자 1684명, 현재 흡연자 1354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관계 있는 유전자 정보를 살펴봤다.

분석 대상은 니코틴 대사와 관련된 12개 유전자의 1644개 단일염기다형성(SNP)으로 구성됐다. 단일염기다형성이란 유전자 염기 서열에서 한 개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바뀌며 발생하는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연구 결과, 6개 단일염기다형성(rs2431412, rs45625338, rs41297431, rs118063322, rs144769946, rs2715904)이 금연 성공 여부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 6개 단일염기다형성을 기반으로 유전적 위험점수를 산출한 추가 분석에서도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자로 남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니코틴 대사가 빠른 유전형을 가진 사람은 금단증상이 심할 수 있어 담배를 끊는 데 비교적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았다.

다만 금연에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음주나 운동 등 생활습관 관련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하는 추가 연구 결과도 함께 나왔다. 연구에선 현재 흡연자의 1주일당 평균 알코올 섭취량(219.8g)이 과거 흡연자(167.6g)나 비흡연자(116.9g)보다 훨씬 많다는 분석 결과가 제시됐다. 또 규칙적 운동을 하는 비율은 현재 흡연자(46.2%)가 과거 흡연자(62.2%)와 비흡연자(61.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심혈관질환과 암을 비롯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유전적 위험점수를 활용해 금연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면 개인별 맞춤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전적 위험이 더 큰 흡연자에겐 약물 치료를 강화하거나 추가 상담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박재민 교수는 “니코틴 대사 속도는 금연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유전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면서 “이번 연구는 기존 서양인 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한국인 맞춤형 금연 전략 수립 필요성과 기초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Today`s HOT
산업단지 프로젝트 기념식 위해 베트남 방문한 싱가포르 총리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 방글라데시 독립기념일 베네수엘라 이민자 지지 시위 6년 전 월마트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예방이 절실..
저먼윙스 비행기 추락 10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꽃이 피고 화창한 날이 온 미국과 영국의 어느 도시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다저스 팀의 야구 훈련 프랑스에서 벌어진 노동조합의 임금 문제 요구 시위
계속되는 달러와 연료 부족, 거리로 나선 목장주와 사업가들 눈보라와 많은 비를 뚫고 지나가는 사람들 계속되는 남동부 지역 산불, 대응에 보강 필요.. 칠레에도 피해주는 산불, 힘을 모아 진화하는 소방관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