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강남3구 아파트값 오름폭 7년 만에 최대···노도강에도 번지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강남3구 아파트값 오름폭 7년 만에 최대···노도강에도 번지나

토허제 해제 수혜 송파구, 주간 0.72% 상승

잠실엘스 전용 84㎡ 30억 거래 ‘최고가 경신’

상공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모습. 한수빈 기자

상공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모습. 한수빈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이번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2018년 이래 가장 큰 상승 폭을 나타냈다. 서울 전체로 상승세가 확산하며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의 하락세도 멈춰섰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발표한 ‘3월 둘째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 상승했다. 강남 3구의 급등세가 서울 전체의 집값 상승을 견인하는 모양새다.

토허제 해제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잠실동이 위치한 송파구는 전주대비 0.72% 상승하며, 2028년 2월 첫째주(0.76% 상승) 이후 7년1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잠실엘스 전용 84㎡가 지난달 30억원에 거래되며 최고가 기록을 경신했다. 강남구의 상승률은 0.69%, 서초구는 0.62%로 두 곳 모두 2018년 1월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그렸다.

강남권에서 불 붙은 오름세에 ‘한강벨트’로 불리는 인접지역도 전주 대비 상승률을 2~3배가량 키웠다. 성동구는 0.08%에서 0.29%, 용산구는 0.10%에서 0.23%, 마포구는 0.11%에서 0.21%로 상승 폭이 확대됐다.

전주까지 하락세를 보였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에서도 추세가 반전됐다. 노원구는 보합(0.00%), 도봉구와 강북구는 각각 0.01%, 0.03%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경기도도 보합 전환했다. 강남 3구와 인접한 과천은 0.71% 오르며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용인 수지구도 0.17% 올랐다.

비수도권은 전주보다 0.05% 하락해 수도권과 격차가 더 벌어졌다. 5대 광역시(-0.07%), 세종(-0.14%), 8개도(-0.03%) 모두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국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오르며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이 전주보다 0.02%포인트 오른 0.05%의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경기(0.02%). 인천(0.01%) 등도 올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