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사계절 양모이불? 겨울용으론 부적합…“충전량 최대 3.3배 차”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사계절 양모이불? 겨울용으론 부적합…“충전량 최대 3.3배 차”

양모 특유의 통기성·흡습성으로 사계절 내내 인기를 끌고 있는 양모솜 이불의 충전량이 제품간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모(양털) 100% 이불 8개 제품을 시험 평가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모든 제품이 양털 100%를 사용했지만 충전량은 차이가 컸다. 제품간 비교는 퀸사이즈(200×230㎝) 양모 이불 1개에 들어 있는 이불솜의 충전량으로 측정했다.

시험 결과 클라르하임 ‘라나’ 제품에는 양모솜 2240g이 들어 있었지만 까사미아 ‘브루노 60수 고밀도 양모 차렵이불’에는 680g만 들어 있어 최대 3.3배 차이가 났다.

또 전체 8개 제품 중 크리스피바바의 ‘라뜰리에 양모 퀼팅이불’, 헬렌스타인의 ‘앨버리 호주산 양모이불’ 2개 제품은 양모솜 총량을 표시했다. 하지만 2개 제품은 단위 면적당 양(온스)을 표시했고 나머지 4개 제품은 아예 표시를 하지 않았다.

세탁 방법 표시도 제각각이었다. 5개 제품은 기계 세탁을 표시했지만 2개 제품은 손세탁, 1개 제품은 드라이클리닝을 각각 표시했다. 그러나 손세탁이라고 표시한 로라애슐리의 ‘아크네 양모이불’, 바세티의 부라노 양모워싱 차렵이불’ 2개 제품은 손세탁 후 양모솜 뭉침 현상이 발생했다.

반면 손세탁과 드라이클리닝 표시 3개 제품을 기계 세탁(울코스·중성세제)으로 3차례 세탁하자 뭉침,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이들 업체에게 세탁 방법 표시를 ‘기계 세탁’으로 바꾸도록 권고했다.

양모 이불은 봄·가을에 사용하기 적정한 보온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제품의 보온성을 시험한 결과 2.11∼2.48 클로(clo)로, 겨울용 다운 이불의 평균인 4.60 클로의 46∼54% 수준이기 때문이었다. 클로(clo)란 보온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수치가 커질수록 보온성이 높아진다.

보온성이 가장 높은 제품은 클라르하임의 ‘라나(2.48 클로)’였고、 보온성이 가장 낮은 제품은 까사미아의 ‘브루노 60수 고밀도 양모 차렵이불(2.11)’이었다.

무게는 엘르의 ‘더니스 양모차렵’이 1930g으로 가장 가벼웠고, 클라르하임 ‘라나’는 3750g으로 가장 무거웠다.

두께는 크리스피바바의 ‘라뜰리에 양모 퀼팅이불’이 2.5㎝로 가장 두꺼웠고, 엘르의 ‘더니스 양모차렵’은 1.2㎝로 가장 얇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양모 이불의 누빔 형태, 두께, 무게, 솜의 충전량 등이 제품마다 제각각인 만큼 구입시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면서 “계절에 맞는 보온성, 개인에게 적절한 크기와 두께, 무게를 가진 이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