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유치원’에 월평균 154만원…5세가 고3보다 영어 사교육비 많이 쓴다

김송이 기자    김원진 기자
13일 서울 양천구 목동 학원가에 학생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정효진 기자 사진 크게보기

13일 서울 양천구 목동 학원가에 학생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정효진 기자

초등학교 취학 전인 영유아가 초중고생보다도 영어 사교육에 쓰는 돈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어유치원’에 보낼 경우 유아 1인당 월평균 154만원을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사실상 영어유치원으로 대표되는 영유아 영어 학원 등을 관리 사각지대에 놔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가 13일 공개한 ‘2024 유아사교육비 시험조사’를 보면, 만 6세 미만 취학 전 영유아 가구가 지난해 7~9월 3개월간 지출한 사교육비는 8154억원이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3조300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영유아 부모 1만3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국가 승인 통계는 아니지만 교육부가 유아 사교육비를 처음 공개한 사례다. 영유아 사교육비가 3조원을 넘길 때까지 정부의 공식적인 실태조사가 없었다. 교육부는 2017년 영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를 시행했지만 시험조사라는 이유로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초등학교 입학 전인 만 5세 아동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5000원으로 초등학교 1학년(42만9000원)보다 많았다.

영유아 사교육은 ‘영어’에 쏠려, 초중고 학생들보다 더 많은 돈을 쓰고 있었다. 사교육 참여 유아 기준 영어 과목에 지출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4000원으로, 지난해 고등학생의 월평균 영어 사교육비(32만원)보다 높았다. 초등(23만2000원)과 중등(27만9000원)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영어유치원으로 불리는 영어학원 유치부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기관에 다니지 않는 유아의 17%가 3시간 이상(반일제) 학원을 이용했는데 영어학원 유치부(154만5000원), 놀이학원(116만7000원), 예능학원(78만3000원) 순으로 월평균 사교육비가 많이 들었다.

소득에 따른 사교육비 격차는 영유아 때부터 벌어졌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 지출 비용, 참여율이 높았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 참여율은 62.4%로, 월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29.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고소득 가구는 유아 1인당 월평균 32만2000원을 사교육비로 썼다.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4만8000원)의 7배 달하는 규모다.

영어유치원을 비롯한 영유아 사교육 시장의 확대에는 정부의 관리부실이 한 원인으로 꼽힌다. 주요 학군지에선 실질적으로 유치원처럼 종일반을 운영하면서도 이름만 영어학원인 곳들이 적지 않다. 서울 강남구와 양천구 목동 등 학군지의 영어유치원은 유아 1인당 월 200만원대로 원비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 11일 목동에서 만난 학부모 A씨는 “원비에 셔틀비 등 생각하면 영어유치원은 월 200만원이 기본”이라며 “만 3세부터 보낼 수 있는 종일반이 유행 중”이라고 말했다.

‘4세 고시’로 불리는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 등에 대한 지적은 그간 꾸준히 있었지만, 영유아 사교육은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있었다.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과장광고 등에 대해 행정지도를 했다고 하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영어유치원의 레벨테스트 등은 학원법 위반 소지도 있다”며 “‘사교육 카르텔’을 운운하던 정부가 이러한 불법을 관리감독 하지 않은 책임이 있다. 문제가 있다는 걸 알고도 계속 방관하다보니 사교육 문제가 기형적으로 변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사교육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등 입시 정책 영향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학원가에선 ‘초등 의대반’이 생겨날 정도였다. ‘영유아 때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학원가의 공포 마케팅과 학부모들의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영유아 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유보통합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이해관계자들의 반발에 부딪히며 도입 논의는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교육부는 이날 무등록·허위광고 학원에 대한 점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Today`s HOT
칠레에도 피해주는 산불, 힘을 모아 진화하는 소방관들 계속되는 남동부 지역 산불, 대응에 보강 필요.. 눈보라와 많은 비를 뚫고 지나가는 사람들 계속되는 달러와 연료 부족, 거리로 나선 목장주와 사업가들
5주 만에 퇴원한 교황, 최소 2달은 안정 취해야..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다저스 팀의 야구 훈련
연이은 가자지구 공습, 보이지 않는 전쟁의 끝 저먼윙스 비행기 추락 10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올해 초 산불 여파 가시기 전, 또 다시 산불 발생 계속되는 러시아 공습에 뉴욕에서 집회가 열리다. 오랜 시간 산사태가 발생하는 랜초 팔로스 베르데스 반도 근처 주거 건물까지 번진 쇼핑 센터에서의 화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