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관 전 의원이 지난달 14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넥스트코리아 포럼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측 제공
김두관 전 의원이 1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 촉구 전략으로 ‘장외 투쟁’을 택한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했다. 친이재명(친명)계 외곽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혁신회의)가 반발하면서 양측 사이에서 설전이 벌어졌다.
김 전 의원은 지난 1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재명 대표는 이미 헌법재판소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잘한 결정”이라며 “이제 민주당 차원의 공식 승복 선언과 장외집회 중단을 결정할 차례”라고 밝혔다.
야당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거리 집회 등 장외 투쟁을 확산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14일서울 광화문 인근 천막 농성장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지난 12일부터 사흘 연속 여의도 국회에서 광화문까지 도보 행진을 했다. 이들은 탄핵 찬성 집회에 참석해 공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 재선의원 모임 ‘더민재’는 헌재 앞에서 ‘인간 띠 잇기’ 행동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경찰의 집회 불허로 광화문 광장 팻말 시위로 대체했다.
김 전 의원은 “집회 개최가 아니라 조용히, 겸허히 결과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며 “헌재 결정에 승복하는 사람은 대한민국의 정치 지도자가 될 수 있으나, 피켓 들고 광장으로 나가 싸우는 사람은 내전의 또 하나의 두목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혁신회의는 전날 논평을 내고 김 전 의원의 주장에 대해 “도대체 뭐 하자는 것인가. 지금 대한민국이 가만히 앉아있을 상황인가”라고 반발했다. 혁신회의는 “지금은 한가하게 승복을 운운할 때가 아니다. 내란수괴 단죄에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며 “김 전 의원은 광장에 나오시라”고 말했다.
혁신회의는 “김 전 의원에게 경고한다”며 “입장은 자유이되 전선을 교란시키진 마시라. 차라리 조용히 침묵하시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가당찮은 이야기로 존재를 증명하는 반당적 정치일 뿐”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은 SNS에서 “존재 증명 차원의 허접한 정치나 하는 사람에게 기명 비판 성명까지 내주시니 감읍할 따름”이라고 맞받았다. 김 전 의원은 “대한민국 제1정당이 계속 거리 투쟁에 앞장서는 것은 국민에게 불안감을 준다”며 이 대표를 향해 “혁신회의 동지들에게 거리로 나서지 말라고 제지해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김 전 의원은 민주당 대표 경선이 한창이던 지난해 8월4일 당 대의원들에게 발송한 글에서 혁신회의를 전두환 신군부 독재를 도운 ‘하나회’에 빗대면서 “이재명의 민주당이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당시 혁신회의는 반박 성명을 내고 “단순히 혁신회의에 대한 모독을 넘어서, 지금껏 당원들의 기대와 열망으로 이뤄내고 있는 정치 혁신과 자랑스러운 민주당의 역사를 모욕하고 있는 것”이라며 사과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