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월 만에 수출 부정적 표현 등장
생산·소비 모두 부진, 전망도 불확실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수출바우처 플라자’에 통상·물류애로 컨설팅관이 운영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넉 달째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동안 경제를 지탱하고 있던 수출마저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봤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수출 증가세 둔화, 경제심리 위축 등 경기 하방압력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 1월부터 석 달 연속 “경기 하방 압력 증가”를 언급하고 있다.
이달 정부의 경기 판단에선 ‘수출 증가세 둔화’라는 표현이 추가됐다. 수출과 관련해 어두운 진단이 등장한 건 2023년 6월 ‘수출 부진’ 이후 21개월 만에 처음이다. 정부가 수출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일 평균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1월 감소했던 수출은 한 달 만에 반등했지만, 일 평균 수출은 1년 전보다 5.9% 줄었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액이 1년 전보다 3.0% 줄어들면서 수출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수출 전망도 불확실하다. 기재부 관계자는 “수출이 앞으로 지난해보다 어느 정도로 낮아질 것이냐는 트럼프발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어떤 방향으로 자리를 잡을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생산과 소비도 모두 부진한 모습이다. 1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2.7% 줄어 2020년 2월(-2.9%) 이후 4년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세를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이 전월보다 2.3%, 서비스업은 0.8% 각각 줄었고 건설업도 4.3% 감소했다.
1월 소매 판매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음식료품·차량 연료 등 비내구재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정부는 소비 진작을 위해 임시공휴일까지 지정했지만, 기대했던 효과는 거두지 못한 셈이다. 다만 2월 들어 국내 카드 승인액이 전년 동월 대비 6.8% 늘어나는 등 1월(1.7%)보다 증가 폭이 확대된 점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재부는 “일자리·건설·소상공인·서민금융 등 1분기 민생·경제 주요 정책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추가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지원 강화,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응하며 수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