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문재인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통계 바로 읽어야”···문 정부 코로나 정책 ‘호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문재인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통계 바로 읽어야”···문 정부 코로나 정책 ‘호평’

입력 2025.03.14 16:46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30일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사저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만나 대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30일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사저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만나 대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문재인 전 대통령이 14일 “국민 보건과 경제 성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매우 유능하고 성공적인 대응을 해냈다”며 자신의 집권 시기에 이뤄진 코로나19 정책을 자평했다. 민주주의 지수, 언론자유 지수 등을 언급하며 윤석열 정부를 에둘러 비판하기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박한슬 작가의 책 <숫자 한국>을 추천하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사회. 입맛대로 취사된 통계가 음모론의 근거가 된다”며 “정치적 입장에 따라 진실이 갈린다. 하지만 객관적 진실은 결국 데이터가 축적된 통계 숫자 속에 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코로나19 정부 정책과 관련 지표들을 언급했다. 그는 “정부의 방역 대책은 많은 반발에 부딪혔고, 백신접종은 음모론에 시달렸다”며 “세계 각국의 평균 수명 통계를 들여다보면, 그 기간 동안 일본을 포함해 세계 중요국의 평균 수명이 모두 줄어든 반면, 유독 한국은 평균 수명이 되레 늘었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가 한창이었던 2021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만7898불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일본을 추월했고, G7(주요 7개국) 국가에 버금가는 위상을 갖게 됐다”며 “현 정부 들어 국민소득은 그때보다 오히려 크게 줄었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통령은 “객관적 통계 숫자가 확인해주는 진실은, 한국이 코로나 기간 동안 국민 보건과 경제 성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매우 유능하고 성공적인 대응을 해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 같은 통계 숫자 바로 읽기가 더 활발해지고 더 확장돼 가기를 바란다”며 “민주주의 지수, 언론자유 지수, 성평등 지수, 국가청렴도 지수 같은 통계들을 살펴보면, 한국 사회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문재인 정부 정책 성과를 강조하는 동시에 윤석열 정부의 과오를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부설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발표한 ‘민주주의 지수 2024’에서 한국은 167개국 중 32위로, 전년보다 열 단계 강등됐다.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하는 한국의 언론자유 지수는 2022년 43위, 2023년 47위에 이어 지난해 62위까지 추락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