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환율 하락에 수입물가 5개월 만에 떨어져

김지환 기자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국제 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내리면서 수입물가가 다섯달 만에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올해 2월 말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3.95로, 1월보다 0.8% 하락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상승세를 이어오다 지난달 하락했다. 자본재(0.3%)는 올랐으나 원재료(-2.3%), 중간재(-0.2%), 소비재(-0.2%) 등이 내렸다. 품목별로 광산품(-2.7%),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0.9%) 등의 하락률이 두드러졌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원유(-3.8%), 수산화리튬(-4.0%), 시스템 반도체(-0.7%) 등이 크게 내렸다.

한은은 “국제 유가와 원·달러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수입물가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1월 평균 1455.79원에서 2월 1445.56원으로 0.7% 하락했다. 국제 유가도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80.41달러에서 77.92달러로 3.1%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향후 수입물가 전망에 대해 “3월 들어 유가는 전월 평균보다 9% 정도 하락했고 환율은 약간 상승한 정도”라며 “국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앞으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2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1월(135.31)보다 0.6% 낮은 134.56으로 집계됐다. 역시 다섯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석탄 및 석유제품(-2.5%),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1.0%) 등을 중심으로 0.5% 하락했고, 농림수산품도 0.4% 내렸다. 세부 품목은 신선 수산물(-5.3%), 경유(-4.8%), 플래시 메모리(-4.3%) 등의 하락률이 컸다.


Today`s HOT
월식 전의 보름달, 관람하고자 모인 사람들 마이애미 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이스라엘 유대인들을 위한 명절, '푸림' 기차를 끌어 기네스 인증 받은 레슬링 선수 마흐루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인력 감축에 항의하는 사람들 갑작스런 토네이도로 아수라장된 피코 리베라
유소년 선수들 만난 이글스 스타 콘 바클리 나폴리서 규모 4.4 지진, 새벽부터 놀란 시민들
안개가 자욱한 호주 캔버라의 모습 BNP 파리바 여자 테니스 경기 우승자, 벨린다 벤치치 아세안 국가 중 GDP 성장 최고인 베트남의 모습 인도 홀리 축제 준비하는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