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박형준의 ‘글로벌허브도시’냐, 이재명의 ‘북극항로’냐…엇갈리는 부산민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박형준의 ‘글로벌허브도시’냐, 이재명의 ‘북극항로’냐…엇갈리는 부산민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6일 부산신항 홍보관에서 지역 현안을 논의했으나 견해차만 확인했다. 부산시 제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6일 부산신항 홍보관에서 지역 현안을 논의했으나 견해차만 확인했다. 부산시 제공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제정이냐, 북극항로 개척이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형준 부산시장이 두 문제를 놓고 어느 것이 더 ‘시급’하고 ‘중요’한지 서로 다른 견해를 내놓자 부산시민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이 대표는 글로벌도시특별법보다 북극항로에 무게를 두는 모양새이다. 이 대표는 지난 2월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이어 지난 6일 부산을 찾아 다시 한번 북극항로를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박 시장과 면담에서 “북극항로는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해운의 특성이 선점 효과가 큰 영역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준비해도 사실 늦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을 중심으로 동남권이 북극항로시대를 대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논해 다른 어떤 정치 세력보다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민주당 지역위원장들은 거리 곳곳에 ‘북극항로 개척, 한국의 미래, 부산의 도약’이라고 쓴 플래카드를 일제히 내걸었다.

이에 반해 박 시장은 글로벌도시특별법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박 시장은 지난해 11월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의 통과를 촉구하며 국회에서 천막농성을 벌이는 등 민주당을 압박해 왔다.

박 시장은 이 대표와 면담에서 “북극항로는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 가운데 중요한 문제에 속한다”며 “부산입장에서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이 시급하고 중요한 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면담 결과에 대해 “간곡하게 요청하고, 정황을 설명했음에도 일언반구도 없이 냉담하게 대응했다는 건 저를 무시했다는 생각을 넘어 부산시민을 냉대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부산지역 국회의원들은 이 대표의 부산행을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얄팍한 정치꼼수”라고 공격했다.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은 부산을 싱가포르, 홍콩 같은 국제적 경제 자유 도시를 조성하는 법안이다. 21대 국회에서 발의됐으나 회기 종료로 폐기됐다. 22대 국회 개원 직후 부산지역 여야 국회의원 18명 전원이 공동으로 참여해 여야 1호 법안으로 재발의했다.

여야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도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정부 부처 협의를 완료했다. 그러나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는 입법을 위한 공청회 개최 일정을 정하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글로벌특별법의 우선 처리를 요구하지만 민주당은 다른 지역 특별법과 병행 처리를 고수하면서 법안 처리가 미뤄졌다. 이 사이 민주당은 북극항로 개척을 강조하며 부산 민심 공략하고 있다.

부산민심은 엇갈린다. 15일 시민 이주황씨(59)는 “주요 선거를 앞두고 당리당략 때문에 오래된 지역 현안이 묻히거나 준비되지 않은 의제가 현안으로 급부상하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서병현씨(33)는 “북극항로 개척은 지자체 수준에서 벗어나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하는 일”이라며 “항로 선점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상당수 부산시민은 “글로벌허브도시나 북극항로나 부산시민에게 모두 좋은 것 아니냐”며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모두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