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딸기 아파트’로 생산량 3배 늘린다…경북농기원, 수직재배 기술 보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딸기 아파트’로 생산량 3배 늘린다…경북농기원, 수직재배 기술 보급

입력 2025.03.16 10:56

경북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수직재배 시스템. 경북도 제공

경북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수직재배 시스템. 경북도 제공

경북도농업기술원(경북농기원)이 딸기 생산량을 3배까지 늘릴 수 있는 수직재배 기술을 본격 보급한다.

경북농기원은 최근 경주시 천북면에서 딸기 수직재배 시범농가와 딸기 특화작목 특구(고령군) 사업 참여 농가 등과 함께 ‘딸기 수직재배 기술 보급’ 시범사업 평가회를 했다고 16일 밝혔다.

경북농기원이 개발한 이 기술은 고설베드 위에 받침대를 설치한 후 특허받은 화분을 아파트 형태의 다단으로 놓아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무선통신기반 센서 기술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한다.

고설베드는 지면보다 높은 곳에 설치한 인공 화단을 말한다. 이 화단을 이용하면 과실이 공중에서 착과 돼 부패 걱정을 덜고 각종 병해충 방제에도 유리하다.

경북농기원은 수직재배 시스템으로 하우스 1동에서 딸기 1만8000주를 생산했다. 이는 기존 6000주보다 3배 증가한 수준이다. 스마트팜의 경우 660㎡ 크기의 하우스 한 동을 짓는 데만 3억~6억원이 든다. 반면 수직재배 시스템의 설치 비용은 5000만원 수준이다.

이날 평가회는 수직재배 시스템 소개와 특허기술을 공동 개발한 업체의 설치 전 유의 사항 설명, 사업추진 농가 사례공유, 현장 견학으로 등으로 진행됐다.

경북농기원은 지난해 포항·경주·김천 등 9개 농가에 수직재배 시스템을 적용한 딸기 재배를 시범 운영했다. 올해는 청도 등 3개 시·군에 이 기술을 보급해 본격 운영한다.

사업에 참여한 김천시 ‘달보드레 농장’ 대표는 “(딸기 품종인)알타리, 비타킹 등을 수직재배 시설에서 재배해 소득을 톡톡히 올리고 있다”며 “작은 면적에서 집중관리 할 수 있어 고령 농가에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고대환 경북농기원 기술보급과장은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하우스 추가 설치 없이도 생산량을 3배로 늘릴 수 있다”며 “이 시스템을 확대 보급해 딸기재배 농가의 소득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