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민 작가 그림책…판타지 모험담
‘시계로 변한 엄마를 구하러 나선 아이’

시계로 변해버린 엄마를 고치기 위해 시계탕을 찾아나선 아이의 모험을 그린 그림책 <시계탕>. 웅진주니어
분 단위로 쪼개진 스케줄표에 따라 아이를 ‘라이딩’(데려다주기)하는 엄마들의 모습이 다큐와 드라마, 연예인 브이로그, 코미디 등을 가릴 것 없이 유행처럼 비치는 시대다. 이에 대한 비판도 부러움도 모두 어른들의 시선일 뿐, 어디에도 아이들의 목소리는 없다. 아이들은 어른들을 보며 무슨 생각을 할까. 그림책 <시계탕>(웅진주니어)에 답이 있을지도 모른다. 책은 비주류의 시선으로 사회의 이면을 담아낸 작품을 발표해 온 권정민 작가(45)의 신작이다.
“10분 내로 준비해.” “3분 후에 불 끄는 거야.” “1분 남았어.” 잔소리하던 엄마가 어느 날 시계로 변해버린다. 아이는 오랜만에 천천히 밥을 먹고 느긋하게 학교 갈 준비를 했다. 엄마의 재촉이 사라지길 기도한 아이는 기쁘기도 하지만, 답답하다. 아이에게 엄마는 자신을 통제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아이는 결국 엄마를 고칠 수 있다는 ‘시계탕’으로 모험을 떠난다. <시계탕>은 이렇게 시작한다.
엄마는 왜 아이를 통제할까. 지난 14일 서울 중구 덕수궁길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권 작가는 “불안”을 꼽았다. 권 작가는 “부모가 본인의 삶에 대한 불안을 느끼면,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대상인 아이를 통제함으로 불안을 제거하려는 것이 아닌가 싶다”고 했다.
개인적인 경험이기도 하다. 작업이 잘 풀리지 않던 시간 권 작가도 아이의 시간을 분 단위로 통제하며 관리한 적이 있다고 했다. 권 작가는 “그때 내 안에서 알람이 울렸다. 이러면 안 되는 것 아닌가.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그렇기에 그림책에서 엄마가 시계로 변한 것은 잔소리가 멈추길 소원한 아이의 기도로 인한 일종의 ‘저주’, ‘징벌’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시계로 변해버린 엄마를 고치기 위해 시계탕을 찾아나선 아이의 모험을 그린 그림책 <시계탕>. 웅진주니어

시계로 변해버린 엄마를 고치기 위해 시계탕을 찾아나선 아이의 모험을 그린 그림책 <시계탕>. 웅진주니어
방송작가 생활을 하다 2016년 <지혜로운 멧돼지가 되기 위한 지침서>(보림)으로 그림책 작가로 데뷔했다. 난개발로 인해 산에서 쫓겨난 멧돼지 가족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기 위한 사투를 유쾌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이번 작품까지 총 7권의 그림책을 냈다. 아기의 시점에서 엄마를 연구하고 기록한 <엄마도감>(웅진주니어)으로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고, 도심 아파트에서 벌어진 기묘한 배달 소동을 그린 <사라진 저녁>(창비)으로 ‘대한민국 그림책상’을 받았다.
주로 아이와 엄마, 인간과 동식물 등 관찰자와 대상의 관계를 전복해 새로운 시선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것이 권 작가 작품의 특징이다. 그림책이지만, 풍자와 일종의 사회고발적 성격이 엿보이는 이유다. 작가가 의도한 것은 아니나 <시계탕>도 아이의 시간을 통제하는 엄마와 속박에서 벗어나고픈 아이라는 소재가 ‘라이딩’이라거나 ‘7세 혹은 4세 고시’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는 최근의 사회상과 연결되는 면이 있다.

그림책 작가 권정민씨가 지난 14일 서울 덕수궁길의 한 사무실에서 최근 출간한 그림책 <시계탕>과 관련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권 작가는 “인문학이 인간의 이상한 모습을 이해해 보려는 시도라고 생각하는데, ‘시계탕’도 그렇다. 사랑하지만 통제하고 싶은 ‘엄마’와 의존하지만 자유롭고 싶은 ‘아이’라는 복잡한 관계에 관한 얘기”라며 “엄마를 좀 벌주고 싶은 마음을 감추고 있었던 아이들은 공감하지 않을까 싶다”고 웃으며 말했다.
책의 말미에 작가의 말이 남겨져있다. ‘엄마는 가끔 고장이 납니다. 하지만 아무도 그 사실을 모르죠. 그땐 나사 몇 개를 풀어 주어야 한답니다.’ 물건이 고장나 나사를 좀 꽉 조여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외려 풀라고 한다. 그는 “비교가 일상이 된 사회다. 과도한 경쟁으로 끊임없이 높이 올라가야 한다는 요구들이 존재하는 복잡한 사회에서 무언가를 조금 덜어내면 조금 편안하지 않을까, 그런 얘기를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 문화 많이 본 기사
그간 모든 책의 글과 그림을 직접 담당했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작업하는 작가들도 많지만, 권 작가는 손으로 작업한다. 판타지 같은 모험을 담은 책이라 이번엔 그림에 더 신경 썼다. 환상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초현실주의 거장들의 그림을 일부 녹여냈다. 르네 마그리트의 ‘잘못된 거울’, 살바도르 달리의 ‘기억의 지속’ 등 그림책에 오마주한 작품을 찾는 것도 재미다. 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 것 같은 아이의 뾰로통해 보이는 표정이 귀엽고 안쓰럽다. 의문의 시계탕 할머니는 몇 장면 등장하진 않지만, 존재만으로 독자의 동화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시계탕>은 17일 출간됐다. 권 작가 작품의 원화를 전시하는 원화전이 이달 25일부터 다음 달 26일까지 마포구 망원동의 한 독립서점에서 열린다. 원화와 함께 작가가 직접 만든 조각 등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 기간 중 작가와 함께하는 북토크도 열린다.

시계로 변해버린 엄마를 고치기 위해 시계탕을 찾아나선 아이의 모험을 그린 그림책 <시계탕>. 웅진주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