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 석방 ‘즉시항고’ 안 한 검찰, MB 석방 땐 이틀 만에 항고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 석방 ‘즉시항고’ 안 한 검찰, MB 석방 땐 이틀 만에 항고장

윤석열 총장 시절인 2020년

“검 의견 안 듣고 결정 부당”

검찰이 법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에 즉시항고를 포기한 것은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2020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석방되자 검찰이 이에 불복해 항고한 것과 대비된다.

이 전 대통령은 2020년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며 석방과 구속을 오갔다. 자동차부품 업체 다스의 회삿돈 횡령 등 혐의로 기소된 그는 보석 중이던 2020년 2월 서울고법에서 징역 17년을 선고받아 재구속됐다. 그는 재항고했다. 재항고는 즉시항고 효력을 가지므로 구속집행이 정지될 수 있다는 점을 노렸다. 재판부는 상급심 판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며 이 전 대통령을 석방했다.

검찰은 검찰 의견을 듣지 않고 석방한 재판부 결정이 부당하다고 했다. 검찰은 이틀 만에 항고했다. 이 시기 검찰총장은 윤 대통령이었다.

대법원은 2020년 10월 이 전 대통령이 제기한 보석 취소 결정에 대한 재항고를 “즉시항고로서의 재항고를 했다고 해서 집행이 정지되지 않는다”며 기각했다. 즉시항고에 집행정지 효력이 당연히 수반되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다.

대법원의 결정 취지를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건에 확대해 적용해 보면, 즉시항고가 반드시 구속 취소 정지 효력을 갖는 건 아니다. 따라서 윤 대통령이 이미 석방된 뒤라 재구금이 무리일지라도 즉시항고를 해 상급심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었다. 항고 제기와 구속에 대한 집행정지 효력을 분리해 주장하는 방법이다.

검찰이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에 아무런 권한도 행사하지 않은 것은 계속 논란이 될 전망이다. 양홍석 변호사는 “1인만을 위한 법 해석을 했고 검찰은 문제를 바로잡을 임무를 저버렸다”며 “체포와 구속 등 실무 절차를 바꿔야 하는 난점이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류혁 전 법무부 감찰관은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 때 권한을 행사한 것과 달리 이번엔 아무런 법률적 장애가 없는데도 즉시항고권을 포기한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검찰의 즉시항고 포기 이후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피의자들의 구속 취소 청구가 이어졌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