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백주에서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가 열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북한이 “국가의 최고법에 의하여 영구히 고착된 핵보유국 지위는 그 누구의 인정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며 비핵화를 요구한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를 비난했다.
북한 외무성은 17일 노동신문·조선중앙통신 등 공식매체에 공개한 ‘대변인 담화’에서 “최근 카나다(캐나다)에서 진행된 G7 외무상 회의에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주권적 권리 행사를 걸고 들면서 그 누구의 ‘핵 포기’를 운운하는 정치적 도발을 감행하였다”며 “엄중한 우려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7개국 외교장관은 지난 14일(현지 시간)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회의하고 발표한 공동선언문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모든 핵무기와 기타 대량살상무기,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북한에 요구했다.
외무성은 “핵무기를 침략적이며 패권지향적인 정치군사적 목적 실현의 주되는 수단으로 삼고 있는 나라들도 G7 성원국들”이라며 “‘핵 공유’, ‘확장억제력 제공’의 명분으로 불법적이며 악의적인 핵 전파 행위에 열을 올리고 있는 나라들도 다름 아닌 G7 성원국들”이라고 비난했다.
외무성은 “우리의 핵 무력은 국가의 주권과 영토 완정, 근본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쟁을 방지하며 세계의 전략적 안정을 보장하는 정의의 위력한 수단으로 영존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은 그러면서 “헌법과 기타 국내법에 규제된 데 따라 외부의 핵 위협에 상응하게 자기의 핵 무력을 질량적으로 부단히 갱신, 강화할 것”이라며 ‘핵보유국’ 지위와 핵 무력 고도화 방침을 거듭 주장했다.
북한은 유엔 안보리 등 국제 사회의 각종 제재를 위반하며 불법적인 핵무기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지칭하며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대화 의지를 지속해서 드러내고 있다.
- 정치 많이 본 기사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핵 개발 이유를 외부 탓으로 돌리며 핵 보유를 정당화하려고 억지 주장을 계속해왔다”며 “북한의 새롭지 않은 상투적인 반응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구 대변인은 최근 북한의 미국 비난 수위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 정책을 비난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 개인을 직접 지칭하는 방식이 아닌 간접적으로 비난하고 있는 부분을 유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