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명태균 게이트’ 이송 한 달···오세훈 수사 집중, 윤 부부는 탄핵 뒤 속도 낼 듯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명태균 게이트’ 이송 한 달···오세훈 수사 집중, 윤 부부는 탄핵 뒤 속도 낼 듯

서울 서초동 검찰 깃발. 정효진 기자

서울 서초동 검찰 깃발. 정효진 기자

검찰이 ‘명태균 게이트‘ 수사를 창원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넘긴 뒤 오세훈 서울시장 관련 의혹 수사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사건의 본류인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과 정치자금법 위반 수사는 탄핵심판 결정 선고 이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17일 2021년 4·7 보궐선거 당시 오 시장의 여론조사비를 대납했다는 의혹을 받는 후원회장 김한정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검찰은 지난달 26일 김씨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같은 달 27일과 지난 14일 등 두 차례에 걸쳐 김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명태균 게이트’ 이송 한 달···오세훈 수사 집중, 윤 부부는 탄핵 뒤 속도 낼 듯

검찰은 지난달 17일 명태균씨 관련 사건을 중앙지검으로 이송한 뒤 한 달 동안 오 시장 관련 의혹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27일과 28일 사건 이송 이후 처음으로 명씨를 조사하면서 오 시장과 만남 시기와 장소를 특정했다. 명씨는 조사에서 오 시장을 총 7번 만났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김영선 전 의원도 같은 기간 명씨와의 대질 조사에서 “명씨와 함께 오 시장을 여러 차례 만났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검찰은 김태열 미래한국연구소 소장과 회계 담당자 강혜경씨로부터 오 시장과 명씨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복수의 진술도 확보했다. 명씨는 오 시장에게 “선거법 때문에 여론조사 비용을 직접 못 줘 김씨에게 2000만원을 빌리러 가고 있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강씨를 지난 5일과 10일, 김 소장을 6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면서 “명씨에게 서울로 오라 채근하는 오 시장의 육성을 들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들의 진술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측 관계자들을 줄소환해 조사했다. 지난 10일 강철원 전 정무부시장과 박찬구 서울시 정무특보가 참고인 조사를 받았고, 13일과 14일엔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이창근 전 서울시 대변인이 차례로 검찰에 출석했다. 이들은 오 시장이 명씨와 만난 사실은 있으나, 명씨가 터무니없는 여론조사 방법을 제시해 2021년 2월 중순 관계를 끊어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건 관련자 대부분이 이미 조사를 받았고 의혹의 당사자인 오 시장 조사만 남겨놓은 터라 오 시장 소환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검찰은 김씨를 조사하면서 명씨와 만남 시점부터 순서대로 묻고 있는데, 지난 14일 2차 조사에서 ‘2000만원 육성 통화’를 포함해 선거 당시에 있던 일을 물었다고 한다. 김씨 측은 사건을 시계열별로 진술한 만큼 이날 3차 조사가 마지막일 것으로 보고 있다.

사건의 핵심인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는 탄핵심판 이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창원지검 수사팀은 지난해 11월 수사보고서에서 “김건희 여사는 명태균이 제공하는 여론조사를 단순히 참고삼아 제공받은 것을 넘어 피의자 명태균에게 윤석열 후보에 유리한 여론조사를 요청한 것이 아닌가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김 여사와 명씨가 나눈 메시지와 윤 대통령의 육성도 모두 확보해놓은 상태다.

검찰은 지난 14일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을 소환 조사하면서 윤 대통령 부부 수사의 발판을 마련했다. 김 의원은 김 여사와의 친분을 앞세워 포항시장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고검장 출신 한 변호사는 “탄핵이 되면 (윤 대통령 부부를) 소환해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검찰이 취할 수 있는 정도”라면서 “늦어져 버리면 선거에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탄핵심판 결정되고 며칠 사이에 부르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