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인천 미추홀구서 전세사기 보증금 전액 보전 ‘첫 사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인천 미추홀구서 전세사기 보증금 전액 보전 ‘첫 사례’

LH, 경매 차익으로 지급

전세사기법 개정 효과

인천 미추홀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살던 A씨는 2023년 11월 전세사기로 보증금 7000만원을 날릴 위기에 처했다. 살던 집은 경매에 넘어간 상태였다. 정부에서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받았지만, 보증금을 되찾지 못할까봐 전전긍긍했다. A씨의 ‘악몽’은 다행히 1년 반 만에 끝났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피해주택을 경매로 낙찰받아 보증금을 돌려줘서다.

LH는 전세사기가 극심했던 인천 미추홀구 한 오피스텔에서 사기를 당한 피해자 A씨가 피해주택 경매 차익과 법원 배당금 등으로 보증금 7000만원을 전액 돌려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경매 차익을 피해 보증금으로 돌려줄 수 있도록 전세사기특별법이 개정된 이후 보증금을 전액 돌려받은 최초의 사례다.

LH는 특별법 개정 이후 9100여가구의 피해주택 매입 신청이 들어와 지금까지 경매로 총 244가구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법 개정 이전에는 LH가 경매 차익을 임차료 지원에는 쓸 수 있었지만, 보증금 손실을 메우는 용도로는 피해자에게 돌려줄 수 없었다. 그러나 법 개정으로 보증금을 피해자에게 지원할 수 있게 되면서 LH에는 피해주택 매입 신청이 급격히 늘었고 A씨 같은 사례도 등장할 수 있었다.

경매로 넘어간 전세사기 피해주택을 LH가 낙찰받게 되면 LH는 해당 주택에 대해 감정을 거쳐 낙찰가액을 뺀 ‘차익’을 계산한다. 이 차익은 피해자 주거 지원과 보증금 회복에 쓴다. 피해자는 이 차익(피해 보증금 액수 내에서 지원)을 받아서 이사해도 되고, 차익을 공공임대 보증금으로 전환해 LH가 사들인 주택에 10년간 거주(희망 시 조건부 연장 가능)할 수도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