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취업자 수 2029년부터 감소…저출생 악몽 ‘눈앞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취업자 수 2029년부터 감소…저출생 악몽 ‘눈앞에’

고용정보원 자료…“2033년까지 추가 인력 82만명 필요”

취업자 수 2029년부터 감소…저출생 악몽 ‘눈앞에’

저출생·고령화가 가팔라지면서 경제활동인구가 2030년부터, 취업자 수는 2029년부터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33년까지 82만명가량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17일 발표한 ‘2023~2033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자료를 보면, 2023년부터 2033년까지 경제활동인구는 24만8000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전 기간(2013~2023년) 증가폭(309만5000명)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전반부인 2023~2028년에 42만3000명 증가하지만, 2030년부터 감소해 2028~2033년에 17만5000명 줄어든다.

연령별로 15~64세 경제활동인구가 162만7000명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은 187만5000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취업자 수는 2023~2033년 31만2000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013~2023년 증가폭(311만7000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취업자 수는 2028년까지 39만7000명 증가하다 2029년부터 감소로 전환돼 2033년까지 8만5000명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직업별로 고령화, 돌봄 및 의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보건복지업에서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기술 변화의 영향으로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업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온라인 상거래 증가, 플랫폼화 등으로 도소매업은 취업자 수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로 산업 전환이 예상되는 자동차 제조업과 금속 가공, 1차 금속 제조업 등도 취업자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정보원은 연평균 경제성장률 전망치(1.9%)를 달성하기 위해선 2033년까지 82만1000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추계했다. 고용정보원은 “2028~2033년에 추가 필요인력이 급증하고 산업 전환과 노동시장의 중대한 구조적 전환기에 직면한 만큼 체계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