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캐나다 신임 총리 “트럼프, 무례한 발언 멈춰야 대화 시작”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캐나다 신임 총리 “트럼프, 무례한 발언 멈춰야 대화 시작”

카니, 관세 보복 대신 협상 의지 보이기도

취임 후 유럽을 순방 중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AP연합뉴스

취임 후 유럽을 순방 중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AP연합뉴스

최근 취임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state)’로 부르는 등 수차례 캐나다 주권을 무시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례한 발언을 멈춰야 한다고 비판했다.

취임 직후 유럽을 순방 중인 카니 총리는 1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무례한 발언을 중단해야 양국 관계에 대해 진지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순방지인 영국 런던에서 취재진과 만나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우린 이런 발언에 대해 지적해왔다”며 “이는 무례하고, 도움이 되지 않으며, 미국과 폭넓은 파트너십에 관한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카니 총리는 집권 여당인 자유당 대표로 선출된 지난 9일 첫 연설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존중을 보여줄 때까지 우리의 관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드러낸 바 있다.

다만 카니 총리는 캐나다가 미국에 ‘맞불 관세’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캐나다 경제 규모가 미국의 10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대일 보복 관세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다”며 미국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할 때만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라고 폄하해 불렀던 트럼프 대통령은 카니 총리의 집권 이후 그에 대해서는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와 영국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경제통’으로, 당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에 대응할 적임자로 급부상해 트뤼도 전 총리에 이어 총리직에 올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