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구 음식점 20곳 중 1곳 위생 상태 ‘좋음’···‘음식점 위생등급제’ 성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구 음식점 20곳 중 1곳 위생 상태 ‘좋음’···‘음식점 위생등급제’ 성과

입력 2025.03.18 10:51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통해 ‘매우 우수’(90점 이상) 평가를 받은 업소에 주어지는 안내판. 대구시 제공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통해 ‘매우 우수’(90점 이상) 평가를 받은 업소에 주어지는 안내판. 대구시 제공

대구지역 전체 음식점 20곳 중 1곳꼴로 좋은 위생 상태를 인정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시는 지난달 말 기준 지역 음식점 4만1199곳 중 1804곳(4.38%)이 위생 등급을 지정받아 운영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시는 2017년 5월부터 음식점(일반음식점·휴게음식점·제과점) 위생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다.

위생등급제는 소비자가 위생 수준이 높은 음식점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도입한 제도이다. 위생등급 지정을 희망하는 외식업소 영업자가 식약처 누리집 또는 각 구·군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분야별로 평가를 벌이고, 식약처 인증을 통해 최종 지정이 완료된다. 우수 업소에 한해 ‘매우 우수’, ‘우수’, ‘좋음’ 등 3단계로 등급을 받을 수 있다.

등급을 받은 업소는 지정기간(2년) 동안 관련 사실을 알 수 있는 안내판을 부착할 수 있다. 또 위생용품 및 상수도 비용, 종량제봉투 지원 등의 혜택도 뒤따른다.

대구시는 위생등급 지정 신청에 어려움이 있는 소규모 음식점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지정 확대를 적극 추진 중이다. 시는 지난해 조성된 전국 음식점 위생등급 특화구역 8곳 중 2곳(북구 삼성창조캠퍼스·수성구 수성알파시티2)이 포함되는 등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특화구역은 침체된 외식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일정 지역 또는 거리 등을 선정, 구역 내 60% 이상의 음식점이 위생등급을 지정받아 운영되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앞으로도 시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음식점을 확대해 건전한 외식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