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관악·영등포에서 시범사업 후 전 자치구 확대
온누리 상품권 결제·페이백 등 소비자 혜택도 강화

3월 1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가운데) 이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공공배달 서비스 시장 확대에 나선다. 배달 중개 수수료가 최대 9.8%에 달하는 민간 배달 플랫폼과 달리 2% 이하로 낮춘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를 활성화해 수수료 부담을 덜고 소비자 혜택을 늘리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18일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를 위해 시범자치구(강남구, 관악구, 영등포구)·신한은행·소상공인 단체 등과 상생협약을 맺고 공공배달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배달+땡겨요>는 서울시가 지난해 말 발표한 ‘소상공인 힘 보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낮은 배달 중개 수수료를 통해 민생경제 안정화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서울배달+땡겨요>의 수수료를 2% 이하로 유지하고,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운영사(신한은행)·소상공인 단체·배달대행사 등과 협력해 가맹점을 확대할 예정이다. 소비자 혜택 강화를 위해선 서울사랑상품권과 ‘땡겨요’ 전용 상품권을 발행해 5%~15%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온누리상품권 결제 도입과 페이백 등의 행사도 준비 중이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서울배달+땡겨요> 운영사인 신한은행은 가맹점 확대를 위해 낮은 배달 중개수수료와 쿠폰 지원금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서울시와 협력키로 했다. 소상공인 단체와 배달대행사는 가맹·배달 지원과 함께 공공배달 서비스 홍보에 협력한다. 앱은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내려받거나 서울페이플러스(서울Pay+) 또는 신한은행 쏠뱅크(SOL뱅크) 앱에서도 연동해 쓸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배달앱 시장이 몇몇 민간 플랫폼 주도의 시장구조로 수수료가 높아지고 자영업자와 소비자에게 부담을 안기는 악순환이 형성됐다”며 “공정한 시장 질서와 지속적인 배달 생태계 조성에 도움을 주는 <서울배달+땡겨요>를 확대해 상생배달 문화를 선도하는 배달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