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방예약제 시행 5년 맞아 제도개선 추진
정상부 백록담 주변 이외 인원제한 완화 전망
도민인식조사, 토론회 거쳐 다음달 중순 시행

제주 한라산. 제주도 제공
시행 5년차를 맞은 한라산 탐방예약제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이용객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한라산 탐방예약제를 개선해 다음달 중순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탐방예약제는 한라산의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정상인 백록담까지 오를 수 있는 성판악과 관음사 코스의 하루 탐방객 수를 각각 1000명, 500명으로 제한한 제도다. 사전에 한라산탐방예약시스템에서 예약한 후 부여받은 큐알(QR)코드를 입구에서 제시해야 입장할 수 있다.
한라산의 또 다른 탐방로 3곳(어리목, 영실, 돈내코)은 예약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정상인 백록담까지는 오를 수 없다.
도는 2021년 1월 탐방예약제를 도입한 이후 무분별한 예약 부도를 막기 위한 벌칙 도입, 1인당 예약 가능 인원 조정, 등정인증서 발급 절차 개선 등의 제도 보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번에는 탐방객의 이용 편의를 보다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손질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개선안은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에 대한 탐방예약 인원 제한은 유지하되 그 외 구간에 대해서는 완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탐방예약제가 적용되는 한라산 내 사라오름, 탐라계곡 등은 기존 도민들이 일상적으로 방문하던 곳인데 이제는 예약해야만 갈 수 있고, 사실상 주말 예약은 어렵다보니 도민 불만이 많았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예약을 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어리목·영실 탐방로에 인파가 몰리는 풍선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고 도는 밝혔다.

제주도는 현재 한라산 탐방로 중 관음사·성판악 탐방로에 대해 탐방인원을 제한하고 있으나 제도 개선을 통해 백록담 주변만 인원을 통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제주도 제공
도는 현재 탐방예약제의 운영 효과와 필요성, 개선사항, 제주경제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도민인식조사를 진행 중이다. 다음달 7일에는 탐방예약제 개선 사항을 논의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탐방예약제 제도개선 정책토론회’를 연다.
도는 도민인식조사, 토론회 결과를 반영해 4월 중순쯤부터 개선된 내용을 담은 탐방예약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 지역 많이 본 기사
한편 도는 청소년들에게 한라산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다음 달부터 학생 체험활동에 한해 평일 최대 200명까지 성판악·관음사 코스를 예약 없이 탐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고 본부장은 “지난 5년간 탐방 인원을 제한함으로써 정상인 백록담 부근의 훼손이 복원되는 등 환경 보호에 효과를 봤다”면서 “탐방예약제의 취지인 한라산 정상부 보호 방침은 살리면서 도민과 관광객의 불편을 더는 방향으로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