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월 총회에서 정관 개정”

정진호 신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이 18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림원 제공
이달 임기를 시작한 정진호 신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이 이사회에 외부 인사를 포함하는 등 운영 체계를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기관의 투명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지난해 한림원에서는 당시 원장과 총괄부원장이 도덕성 해이 논란을 일으켜 사회적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정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사회 구조를 바꿔 외부 시각이 많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올해 11월 한림원 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원장은 “폐쇄적이 아니라 개방적으로 한림원을 운영해 한국 과학의 미래를 그리는 사명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원장이 한림원 운영 구조 투명화를 추진하려는 것은 전임 원장과 총괄부원장에게서 불거진 도덕성 해이 논란 때문이다. 이들은 관용차를 사적으로 이용하거나 회의 기간을 부풀려 골프나 관광을 했다는 의혹 등과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감사에서 징계 결정을 받았다.
이날 정 원장은 2023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대폭 삭감되는 와중에 한림원이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한림원의 방침이 상충할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내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과제”라며 “앞으로 고민을 많이 하겠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향후 한국이 과학 부문에서 노벨상을 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과학의 목표가 노벨상 수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노벨상 수상은 국격과 연관돼 있다”고 강조했다.
- 과학·환경 많이 본 기사
그러면서 “노벨상 수상 열기가 사회 전반적으로 퍼지면 젊은이들이 과학에 유입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수학에 대한 중고생들의 관심을 높이는 효과를 냈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서울대 약대 교수 출신이다. 지난해 11월 차기 한림원장에 선출됐으며, 지난 4일부터 3년 임기를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