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등 사직 전공의들 ‘반발’
환자협회 등은 “희망 봤다”
온라인서 치열한 갑론을박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서울대 교수가 현장에 복귀한 동료를 비난한 전공의, 의대생을 비판하는 성명을 낸 데 대한 반향이 커지고 있다. “참스승의 면모를 보였다”는 지지에서부터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다”는 비판까지 평가가 엇갈렸다. 의사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비판 성명을 낸 교수들에 대한 인신공격성 글들이 쏟아졌다.
의사 사회에서는 성명에 대한 지지가 높지 않다. 안준호 울산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18일 SNS에 “정부가 느닷없이 증원하고 겁박하는데 힘없는 학생과 전공의가 휴학과 사직 외에 다른 저항 방법이 있냐”고 했다. 방재승 전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은 의료전문매체 인터뷰에서 “지금은 전공의, 의대생들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 아닌데도 마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몽니로 몰고 가선 안 된다”며 “멀쩡히 있던 의사들에게 돌을 던진 건 정부인데 왜 그 돌을 피해 숨은 제자들을 때리냐”고 했다.
성명이 실명으로 비판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원장은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몇몇 분들께”라는 반박글을 냈다. 그는 “여기, 교육자로서 본분을 다하지 않은 교수 네 분의 자백이 있다”며 “이런 사태가 벌어져야만 위선을 실토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주장했다. 강 교수의 SNS에도 그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댓글이 여럿 달렸다. 일부 의대 교수 등이 “응원한다”는 댓글을 달자 이를 공격하는 댓글이 달렸다.
하 교수 등은 전날 낸 성명에서 사직 전공의 등을 향해 “여러분은 2000명 의대 정원 증가가 해결책이 아니라는 오류를 지적하면서 용기와 현명함을 보였지만,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며 “오직 탕핑(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과 대안 없는 반대만이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며 “이런 투쟁 방식에 계속 동조할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이제는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의료계 밖 분위기는 의사 사회와는 사뭇 달랐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논평에서 “환자를 버린 행위까지 감싸주는 의사 카르텔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렸고 비판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희망을 봤다”며 “이익을 위해 자리를 떠난 이들에게 부여하는 ‘특례’가 아닌 수모를 겪고도 남은 이들을 향한 ‘특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에도 “용기 있는 목소리 응원한다” “환자, 국민 입장에서 올바른 말 해줘서 감사하다” 등의 댓글이 달렸다.
정재훈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SNS에서 “우리가 과거에 힘들게 겪었다고 해서 그것이 당연하거나 마땅히 반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젊은 세대들도 지금의 상황이 너무 어렵고 참담하지만 의료계의 직업적 전문성이나 사회적 신뢰라는 측면에서도 활동을 돌아봐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양측에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