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군부 독재’ 시절 재소자 상대로 구타·유격훈련 등 벌여···진실화해위 “국가가 사과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군부 독재’ 시절 재소자 상대로 구타·유격훈련 등 벌여···진실화해위 “국가가 사과해야”

입력 2025.03.18 20:59

1980년 10월 대전교도소에서 재소자들이 가마니를 들고 구보하며 순화교육을 받는 모습. 진실화해위 제공 사진 크게보기

1980년 10월 대전교도소에서 재소자들이 가마니를 들고 구보하며 순화교육을 받는 모습. 진실화해위 제공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1980년대 교도소 내 재소자들에게 구타와 가혹행위 등을 한 사건에 관해 국가가 사과하라고 권고했다.

진실화해위는 18일 오후 열린 101차 위원회에서 ‘교정시설 내 재소자 순화교육 인권침해 사건’에 관해 진실규명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1980년부터 1987년까지 교도관들이 ‘순화교육’을 이유로 교도소에 수용된 미결수·기결수·소년수 등에게 4주간 구타와 가혹행위 등을 한 사건이다. 법무부 교정국의 ‘재소자 특별순화교육’ 지침에 의해 실시됐다.

진실화해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정국은 순화교육 과정에서 재소자를 상대로 PT체조·유격훈련 등 군사훈련을 하거나 몽둥이로 구타했다.

진실화해위는 “조사 결과 재소자 순화교육은 수용자들의 헌법상 보장된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하는 기본권과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 사실이 드러났다”라고밝혔다.

진실화해위는 국가가 이 사건 피해자들의 인권침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 피해복구를 위한 적절한 조처를 할 것, 교정 공무원 등에 대한 인권교육을 강화할 것 등을 권고했다.

진실화해위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 전쟁 전후 민간인이 희생된 ‘충남 서산·태안 적대 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등 10개 사건에 대해 진실규명을 결정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