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매출 부진에 플랫폼 비용까지”…폐업 소상공인 평균 부채 1억 넘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매출 부진에 플랫폼 비용까지”…폐업 소상공인 평균 부채 1억 넘어

창업 후 폐업까지 평균 6년 6개월

폐업비용 평균 2000만원

“대출금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 등 필요”

서울 황학동 주방거리에 폐업 점포의 물품들이 쌓여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 황학동 주방거리에 폐업 점포의 물품들이 쌓여 있다. 한수빈 기자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결심했을 때 평균 1억원 넘는 빚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매출은 줄고 인건비·물가·임대료가 오르는 데다 온라인플랫폼 비용 부담까지 늘면서 사업을 접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9일 발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창업 후 폐업까지의 영업 기간은 평균 6.5년으로 나타났다. 영업 기간이 3년 미만인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2021년 이후 노란우산(소기업소상공인공제) 폐업공제금을 지급받은 소상공인 820곳을 대상으로 지난 1월21일부터 2월18일까지 진행됐다.

폐업 사유(복수응답)는 ‘수익성 악화·매출 부진’(86.7%)이 가장 많았다. 또 ‘적성·가족 등 개인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준비’(26.0%), ‘임대기간 만료, 행정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 등이 있었다.

수익성 악화 및 매출 부진 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 부진에 따른 고객 감소’(52.2%)와 ‘인건비 상승’(49.4%), ‘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46.0%),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44.6%) 등을 꼽았는데, ‘온라인플랫폼사 수수료·광고비 부담’(16.3%)도 호소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배달앱·숙박앱 비용 부담(35.6%)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 온라인플랫폼의 비용 부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 기준 부채액은 평균 1억236만원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1억4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보다 약 1.6배 많았다. 폐업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평균 2188만원으로 나타났다. 폐업 비용은 철거비 518만원, 원상복구 비용 379만원, 종업원 퇴직금 563만원, 세금 420만원 등으로 사용됐다.

“매출 부진에 플랫폼 비용까지”…폐업 소상공인 평균 부채 1억 넘어
“매출 부진에 플랫폼 비용까지”…폐업 소상공인 평균 부채 1억 넘어

소상공인들은 폐업 절차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생계유지 방안 마련’(31.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권리금 회수와 업체 양도’(24.3%)와 ‘대출금 상환’(22.9%)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 중 78.2%는 희망리턴패키지나 새출발기금 등과 같은 정부 지원 제도를 활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유는 ‘정부 지원 내용을 알지 못해서’(66.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폐업 시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대출금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 폐업 비용 지원, 진로 지원, 자영업자고용보험·노란우산공제 확대 등이 꼽혔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생산 주체이자 소비 주체이기도 한 소상공인의 급격한 붕괴는 복지비용 등 우리 경제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이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