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업 소득 감소·이농현상 가속화”

지천댐반대 부여대책위원회(준) 관계자 등이 19일 부여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댐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지천댐반대 부여대책위원회(준) 제공
충남 청양에 이어 부여에서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지천댐 건설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천댐반대 부여대책위원회(준)는 19일 부여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여군수와 부여군의회는 지역 발전을 저해하고 생태도시 부여를 파괴하는 지천댐 건설에 대한 명확한 반대 입장을 밝힐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부여대책위원회는 부여환경연대와 부여민주단체연합, 전국농민회 부여지부 등 10개 시민단체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환경부와 충남도는 ‘기후위기와 물부족을 겪는 충남도 미래 100년을 책임질 필요한 사업’이라는 명분 하에 지천댐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며 “최근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목에 칼이 들어와도’라는 막말까지 하면서 지천댐 건설을 추진하겠다며 일부 찬성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협의체를 출범시키려고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지천댐이 건설되면 농림축산업 분야 소득이 감소되고 이농현상이 가속화돼 부여·청양의 존폐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환경부와 충남도는 지천 범람으로 2022~2024년 부여와 청양이 물난리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지만 그 원인은 대청댐을 방류하고 금강하구둑을 닫은 것으로, 지천댐이 있었다면 피해는 훨씬 더 컸을 것”이라고 했다.
부여대책위원회는 청양 지천댐 반대대책위원회와 지천댐 건설 반대 활동을 연대해 전개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책위는 “환경부와 충남도가 부여 군민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며 지역의 미래 발전을 수몰시킬 권리는 없다”며 “낙후되고 있는 부여군을 희생시키고 주민을 떠나게 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는 지천댐 건설 추진은 당장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7월30일 전국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면서 지천댐을 포함시켰다. 청양 장평면과 부여 은산면 일원 지천에 저수 용량 5900만㎥ 규모의 댐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충남도는 오는 21일까지 지천댐 건설 추진을 위한 ‘지천댐 지역 협의체’ 주민 위원을 모집한다. 도는 찬·반 양측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통해 협의와 논의를 거쳐 지천댐 건설과 관련된 향후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