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네트워크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지난 1월16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의 물관리위원회 안건 상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환경단체가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을 재차 반대하고 나섰다.
낙동강네트워크 등 6곳은 19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철회와 물관리위원회 안건 상정 철회 등을 촉구했다.
이날 환경단체는 “이 사업은 경제적으로, 또 실효성 면에서 전혀 효용성이 없는 사업”이라면서 “안동댐은 이미 중금속으로 심각히 오염돼 있어 취수원으로 사용하기 적절치 않을 뿐더러 천문학적인 혈세를 들여 공사를 벌이는 건 터무니없는 기획이다”고 주장했다.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은 경북 안동댐 직하류에서 취수한 물을 대구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옮기기 위해 총연장 약 110㎞의 도수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예산은 약 1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사업은 비용 대 편익(B/C)값이 0.57로 경제성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단체는 식수원으로 적절치 않은 곳을 취수원으로 삼는 데다, 경제성이 낮아 혈세가 낭비된다는 점 등을 근거로 사업이 진행되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당초 대구시는 부족한 유량을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확보하는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홍준표 대구시장은 2022년 7월 취임 이후 이 논의를 중단했다. 대신 대구시는 지난해 7월 안동시, 환경부와 함께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그해 9월에는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사업의 근거가 되는 ‘낙동강유역 취수원 다변화 특별법’(낙동강특별법)을 발의했다. 이후 낙동강유역 물관리위원회 정책분과는 지난해 12월19일 이 사업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했다.
국가사업 목록에 올리겠다는 방침에 환경단체의 반발은 더욱 거센 모양새다. 지난 1월16일 정책분과 소위원회 관계자들이 대구경북디자인센터 회의실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변경안을 심의하기로 했지만 환경단체 관계자들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19일 오후 대구에서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 대한 지역의견 청취 절차가 진행됐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한편 ‘대구 맑은물 범시민추진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취수원 이전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
이들은 “안동댐 바닥 퇴적물에는 중금속이 있지만 댐 직하류 지점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거나 수질기준을 충족한다. 안동댐 물이 안전하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라며 “취수원을 하루 빨리 옮겨 대구시민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불안이 사라지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