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강하늘 “스트리머 라이브 연기, 사소한 삐걱거림 살리려 노력했죠”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강하늘 “스트리머 라이브 연기, 사소한 삐걱거림 살리려 노력했죠”

영화 <스트리밍> 에서 ‘우상’ 역을 맡은 배우 강하늘.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스트리밍> 에서 ‘우상’ 역을 맡은 배우 강하늘.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편집의 예술’이라고 불리는 영화와 편집 없이 실시간으로 모든 걸 내보내는 ‘라이브 스트리밍’은 본질부터가 다르다. 배우 강하늘이 영화 <스트리밍>(감독 조장호)에서 연기한 대한민국 구독자수 1위 범죄 채널 스트리머 ‘우상’은 자극적인 소재의 방송을 하면서도 짐짓 점잖은 체 하지만 날티를 숨기지 못한다. 구독자들의 댓글에 쉽게 ‘긁히는(자극한다는 뜻의 신조어)’ 우상이 표정 관리에 실패하는 모습은 영화 속 라이브 방송에 그대로 송출된다.

<스트리밍>은 1위만이 수수료 없이 후원금을 독차지하는 스트리밍 플랫폼 ‘왜그’에서 1등을 놓칠 위기에 처한 우상이 관심과 돈을 되찾아 올 심산으로 ‘옷자락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을 찾아보겠다고 나서는 이야기다. 18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강하늘은 영화이되 그 안에서 스트리밍 방송을 진행해야 하는 이 작품에서 “연기가 아니라 생중계처럼, 진짜 카메라 앞에 서 있는 스트리머처럼 보이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일명 ‘범죄 사냥꾼’ 우상을 어떻게 만들어냈을까.

우상은 사람 좋은 척 번지르르하게 말하다가 분에 겨워 소리 지르고, 욕하고, 폭력성을 삐쭉삐쭉 드러내는 인물이다. 선한 함박웃음이 먼저 떠오르는 강하늘의 이미지와는 동떨어진 캐릭터다. 강하늘은 “평소엔 ‘나라면 어땠을까’ 생각하며 연기하는 편인데, 이번엔 ‘싫어하는 사람의 행동’을 떠올리며 우상을 만들어갔다”고 했다.

영화 <스트리밍> 촬영 현장.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스트리밍> 촬영 현장.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그가 설정한 우상은 ‘겉으로 꾸민 포장지가 큰’ 사람이다. 검은 넥타이와 정장 차림이라는 초기 설정에 강하늘이 문신 분장과 귀걸이, 알이 큰 시계 등으로 ‘과시하기 좋아하는’ 캐릭터성을 더했다. 그는 “그럴수록 찌질하고, 겁쟁이이고, 연약한 속내가 있기 마련”이라며 “그 갭을 설명하면 재미있겠다 싶었다”고 했다. “제가 (범인을) 잡겠습니다!”라며 호기롭게 외치지만, 막상 어두운 방에 들어갈 때면 카메라 감독에게 “먼저 들어가라”고 하는 식의 애드리브로 입체감을 더했다.

강하늘은 이 작품을 찍으며 “1차원적으로 말이 꼬인다거나, 뒤에 있는 물건이 툭 떨어지는” 등 통제되지 않는 실수들이 곧 생방송의 묘미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생생함은 사소한 삐걱거림에서 오더라고요.” 그가 말했다. 이어서 “너무 연기 같다는 생각이 들면, 아예 새롭게 대사를 해보면서 씬을 통째로 다시 찍었다”고 했다.

<스트리밍>은 우상의 실시간 방송이 영화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10분 가까이 되는 롱테이크씬도 등장한다. 강하늘의 연기와 카메라 움직임으로 장면의 호흡을 조절해야 했기에, 더 많은 의논이 필요했다고 한다. 원테이크 영화를 좋아한다는 그로서는 힘들기보다는 신이 나는 현장이었다고 한다.

강하늘은 “감독님을 비롯한 촬영팀, 조명팀, 미술팀, 소품팀이 다 붙어서 매 씬을 함께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준익 감독님의 영화 <동주> 촬영 때에도 느꼈던 감정인데, 현장에서 ‘어떻게 움직일지’ ‘카메라는 어디에 둘지’ 다 같이 머리를 맞대고 씬을 만들어냈던 기억이 소중하게 남아 있다”고 했다. 91분 동안 ‘스트리머’ 강하늘의 광기어린 얼굴 등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스트리밍>은 오는 21일 개봉한다. 청소년 관람 불가.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