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4.0 프로젝트’ 추진…‘3대 게임 체인저’ 분야 3조원대 재정 투입

정부가 올해 인공지능(AI)·바이오 등 첨단전략산업과 유니콘 벤처기업 등에 75조원 규모의 저리 대출을 지원한다. AI·반도체, 바이오, 양자 기술 등 이른바 ‘3대 게임 체인저’ 분야엔 예산 3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신성장 4.0 프로젝트 2025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먼저 신산업 등 중점 분야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을 통해 75조4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지난해보다 12조7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AI·바이오 등 첨단전략산업 육성에 37조2000억원, 콘텐츠·항공우주 등 미래유망산업 지원에 21조5000억원, 유니콘 벤처기업 등 육성에 16조7000억원을 지원한다.
‘3대 게임 체인저’ 분야에 대한 재정 투입 규모는 지난해 2조7000억원에서 올해 3조4000억원으로 27.1% 늘린다.
올 상반기부터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 AI 반도체에 대한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도 지난해 8700억원에서 올해 1조2600억원으로 늘린다. 또 올 상반기까지 한국형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2028년까지 총 6000억원을 들여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올 하반기에는 양자전략위원회 5개년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5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을 본격 시작한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반도체·2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지원도 강화한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전력·용수·도로 등 인프라를 지원한다. 2차전지 분야에는 7조9000억원 규모의 저리 대출을 해주고 세금도 깎아준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고효율·장수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개발을 위해 900억원의 R&D 비용을 지원한다. 무기발광(iLED)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확보와 주요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엔 1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올해 예산 1500억원을 들여 우주탐사도 지원한다. 오는 11월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를 시도한다. 독자적인 달 착륙선 개발에도 착수한다. 원전 분야에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사업에 2028년까지 3000억원을 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