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국형 R&B 보컬의 혁명 ‘휘성’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국형 R&B 보컬의 혁명 ‘휘성’

휘성을 처음 본 건 2000년 즈음으로 기억한다. 그 당시 PC통신 ‘나우누리’에는 SNP라는 전설적인 흑인음악 동호회가 있었고, 그는 지금은 음악 및 연예계에서 유명인이 된 데프콘, 정인, 버벌진트 등과 함께 온·오프 모임에 종종 모습을 보이며 가수의 꿈을 꾸던, 아직은 재능보다는 열정이 더 빛나던 청년이었다.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RealSlow’라는 아이디로 불렸던 휘성이 가요계의 트렌드를 바꾸는 엄청난 가수로 성장할 줄을.

휘성은 원래 노래보다는 춤에 더 소질이 있던 소년이었다. 하지만 머지않아 그는 자신의 진정한 꿈이 가수에 있다는 걸 깨달았고, 그를 미치게 했던 흑인 가수들의 음색과 기교를 연마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감행한다. 한국인의 목소리나 발음은 흑인들의 전유물로 느껴졌던 R&B나 솔 음악에는 맞지 않는다고 여겨지던 시절이었다. 1990년대에 한국에 흑인음악을 소개했던 김조한이나 박정현의 믿을 수 없는 절창은 오로지 미국에서 나고 자란 이들만이 배울 수 있었던 ‘본토’ 감성이라고 애써 자위하던 시절이기도 했다. 하지만 휘성은 그 한계를 돌파하고자 했다. 그가 우상으로 삼았던 시스코나 크레이그 데이비드의 노래를 커버하기 위해 타고난 미성을 버리고 두툼하고 탁한 목소리를 장착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과 고통이 있었을지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한국형 R&B 발라드의 표본이라고 할 만한 ‘안되나요’가 담겼던 그의 데뷔 앨범 <Like A Movie>를 처음 들었던 날과 그 기분이 아직도 생생하다. 동호회 시절의 그 휘성이 결국 해냈구나 하는 반가움과 함께 새삼 주목했던 건 그의 목소리였다. 앨범 수록곡들은 당시 가요가 대부분 그러했듯 본토 흑인음악의 장르적 순도를 따라갈 만큼의 작법적인 수준을 획득하진 못했다. 하지만 그래도 노래만은 달랐다. 오로지 한국에서 음악을 귀로 ‘따고’, 수없는 연습과 좌절을 통해 단련된 그의 힘 있고 유려한 음색은 드디어 한국적인 흑인음악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본능적으로 직감하게 해주었다. 데뷔 앨범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휘성의 ‘Incomplete’ 커버를 오랜만에 다시 들어봤다. 당연히 시스코의 원곡에 비할 바는 아니었지만 이제는 결코 폄하하거나 간과할 수 없는, 새로운 괴물 보컬리스트의 출현 앞에 느꼈던 전율이 마치 어제 일처럼 생생하다.

‘With Me’는 또 한번의 충격이었다. 아마추어 칼럼니스트 시절을 포함해 내가 음악평론가로서 느꼈던 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충격적인 순간 중 하나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그 곡. 작곡가 김도훈이 만든 넘실대는 그루브와 세련된 화성은 흑인음악을 댄스뮤직 혹은 발라드 장르로만 알고 있던 가요 팬들에게 그 자체로 혁신이었고, 그 쉽지 않은 노래를 가지고 노는 휘성의 기교와 자유분방한 애드리브는 가창력의 정의에도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았다. 아니나 다를까, 이후 가요계에는 그의 톤과 창법에서 영향을 받은 가수들이 등장하면서 휘성 세대의 출현을 알렸다. 만약에 ‘창법’으로 다시 쓰는 가요사가 가능하다면 휘성은 응당 중요한 한 챕터로 다뤄져야만 할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지나치게 혹사한 탓인지 그의 목소리는 온전치 못했다. 몇번의 부침을 거치며 방황했지만 그래도 그는 좋은 음악을 만드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고, 떠나는 순간까지도 새로운 음악에 대한 고민으로 가득 차 있었다. 바로 그 점이 더 안타깝다. 게으른 천재와 포장된 가짜 재능으로 넘쳐나는 세상에서 휘성의 순도 높은 노력과 열정을 너무도 빨리 떠나보냈다는 것 말이다.

김영대 음악평론가

김영대 음악평론가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