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작년 지구 기온 1.55도 ↑…산업화 이후 가장 뜨거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작년 지구 기온 1.55도 ↑…산업화 이후 가장 뜨거워

입력 2025.03.19 21:34

기후위기 마지노선 ‘1.5도’ 첫 초과…온실가스 농도 80만년 만에 최고

작년 지구 기온 1.55도 ↑…산업화 이후 가장 뜨거워

2024년은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를 초과해 상승한 첫해로 기록됐다. 전 세계가 기후위기로 인한 재앙을 막기 위해 설정해놓은 ‘1.5도’ 마지노선을 넘긴 것이다. 다만 장기 추세로는 아직 지구 기온 상승폭이 1.5도 이내에서 관리되고 있어 탄소중립을 위한 세계적인 노력이 시급하다.

세계기상기구(WMO)가 19일(현지시간) 공개한 전 지구 기후 현황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는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약 1.55도 상승해 175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해로 기록됐다. 2015년 파리협정에서 전 세계는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고 약속했다.

지구온난화 정도를 보여주는 각종 지표가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대기권 온실가스 농도는 80만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2023년 기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0.0PPM으로 1750년보다 151% 증가했다. 메탄과 아산화질소 농도 역시 80만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해양온난화 속도도 가파르다. 바닷속 열에너지 총량인 해양 열 함량은 지난해 65년 관측 사상 가장 높았다. 지난 20년간(2005~2024년) 해양온난화 속도는 1960~2005년 대비 2배 이상 빨라졌다.

해수면은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평균 해수면 고도는 1993년 위성 관측 시작 이후 가장 높았다.

빙하도 더 빠르게 녹고 있다. 2022~2024년 빙하 질량이 가장 크게 감소했으며, 1950년 이후 가장 크게 빙하가 줄었던 기록 10건 중 7건은 2016년 이후에 나왔다. 북극 해빙 면적은 지난 18년 중 가장 작았고, 남극 해빙 면적도 3년 동안 200만㎢를 밑돌았다.

다만 1.5도를 한 해 초과했다고 해서 파리협정에 명시된 1.5도 이내 제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장기적으로는 아직 1.5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WMO는 “장기적인 지구온난화 수준은 1.34~1.41도로 추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