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민 10명 중 7명 “추경 필요”···이유는 경기침체 대응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국민 10명 중 7명 “추경 필요”···이유는 경기침체 대응

편성 시기 ‘3월 중’ 최다···신속한 집행 여론 높아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국민 10명 중 7명은 추가경정예산(추경)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가장 큰 이유는 ‘경기침체 대응’을, 가장 적절한 편성 시기로는 3월을 꼽았다. 추경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것이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70.5%는 “추경이 필요하다”라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2.6%에 그쳤다.

추경의 필요 이유에 대해서는 54.8%가 ‘경기침체 대응’을 꼽았다. 이어 ‘복지 및 취약계층 지원’(15.2%), ‘글로벌 경제상황 대응’(13.6%), ‘일자리 창출’(10.3%), ‘자연재해 및 재난 복구’(2.0%) 순이었다.

가장 적절한 추경 편성 시기로는 ‘3월 중’이라는 응답이 29.1%로 가장 많았다. ’4월 중‘은 19.7%, 5월 중은 15.0%, 6월 이후는 19.7%였다. 3~4월 중에 추경을 편성하자는 의견이 48.8%로 대다수였다.

추경 내용에 대해서는 ‘내수진작을 위한 소비지원’(24.7%)을 가장 선호했다. 다음으로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19.4%), ‘인공지능·반도체 및 연구개발(R&D) 확대’(19.1%), ‘고용안정 및 일자리 창출’(17.4%), ‘복지 및 취약계층 지원’(13.4%)이 뒤를 이었다.

경제 상황 인식을 묻자 응답자의 84.1%가 “지난 1년 전과 비교해 국내 경제가 나빠졌다”라고 답했다. 특히 ‘매우 나빠졌다’는 응답이 64.7%에 달했다. ‘1년 전과 비슷하다’는 10.6%, ‘나아졌다’는 3.6%였다.

국내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5%가 ‘정부 정책’을 꼽았다. 이어 ‘물가 상승’(17.8%), ‘글로벌 경제 상황’(12.2%), ‘부동산 시장’(6.2%), ‘기업 투자 및 산업 성장’(4.0%)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를 활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