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작년 혼인 증가율 54년 만에 최고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작년 혼인 증가율 54년 만에 최고치

14.8%↑…베이비붐 30대 ‘적령기’

지난해 혼인이 전년보다 15% 가까이 늘어나면서 증가율이 54년 만에 가장 높았다. 건수로도 1년 사이 2만9000건 증가해 27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30대 초반 인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4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412건으로 1년 전보다 2만8755건 증가했다. 증가폭은 1996년 후 27년 만에 최대, 증가율(14.8%)만 따지면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다.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11년 연속 줄면서 2021년(19만2507건)에는 20만건 밑으로 떨어졌다. 이후 2022년에 19만1690건으로 최저치를 찍었다. 2023년 19만3657건으로 반등한 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했다.

통계청은 혼인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로 매년 70만명씩 태어난 현재 30대 초반 인구를 들었다. 일반적으로 결혼을 많이 하는 30~34세 인구(주민등록상)는 2020년 313만1000명에서 올해 342만6000명으로 늘었다. 1991년생이 70만9000명으로 1990년생보다 약 6만명 많이 태어났고, 1995년까지 쭉 70만명대를 유지했다.

코로나19로 미뤄졌던 결혼이 진행된 기저효과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결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사회조사 2024’를 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2.5%로 2년 전보다 2.5%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전년보다 남자는 0.1세 하락, 여자는 0.1세 상승했다. 초혼 부부 중 여자가 연상인 경우는 19.9%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올라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1000건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이혼율은 남성은 40대 후반, 여성은 40대 초반에서 가장 높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