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민 10명 중 7명 “물가 올라 작년보다 살림살이 어렵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국민 10명 중 7명 “물가 올라 작년보다 살림살이 어렵다”

한경협, 국내 경기 설문조사

소득 감소·일자리 불안도 원인
64% “내년에는 더욱 악화될 것”
생필품·에너지 가격 안정 촉구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나빠졌다고 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에 그쳤다.

가계경제가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했는지 묻자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많았다.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이었다. 구간별 중간값을 기준으로 보면 평균 7.7% 악화했다고 인식했다.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의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이 71.9%로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실질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물가 중 식료품·외식비(72.0%)가 가장 많이 올랐다고 답했다. 이어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순이었다.

일자리·사업에 대해 43.1%는 ‘불안정’하다고 답했다. ‘안정적’이라는 응답은 26.5%, ‘보통’은 30.4%였다.

내년도 전망은 ‘악화할 것’이 64.2%로 ‘개선될 것’(35.8%)보다 많았다. 소득 전망은 ‘감소’가 52.1%로 ‘증가’(47.9%)보다 많았다. 지출 전망은 ‘증가’(54.2%)가 ‘감소’(45.8%)보다 많았다.

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서로 꼽혔다. 일자리에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등 순이었다.

가계부채와 관련해선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41.1%)가 가장 많았고 ‘부동산시장 안정화’(31.6%) 등이 뒤를 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